[뉴스핌=노민호 기자] 남북 '평창 실무회담' 결과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찾는 북한 방문단은 400명을 넘는 규모가 될 전망이다. 반면 선수단은 최대 20명에 이를 것으로 보여 북한이 이처럼 역대급 방문단 규모를 구상하는 저의를 두고 관심이 쏠린다.
17일 평창실무회담 후 남북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북측이 응원단 230여명, 태권도 시범단 30여명과 기자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북한이 보내겠다고 한 삼지연 관연학단 140여명을 합하면 400명 선이 되며, 재일조선인총연합(조총련) 응원단 250명까지 더하면 600명을 훌쩍 넘는다.
북한의 선수단은 오는 20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및 남북회의를 통해 최종 결정될 예정이지만 동계 올림픽 특성상 북측의 파견 규모가 작을 것으로 예상되며 10~20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북한이 한국에서 열린 국제스포츠행사에 선수단을 제외한 대표단을 가장 많이 파견한 경우는 2003년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때이다. 당시 303명의 응원단을 파견한 바 있다.
하지만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때의 경우 선수단은 224명이었기 때문에 단순 수치로만 비교했을 때 평창 올림픽과는 확연히 비교된다.
![]() |
북한 여성 응원단들이 지난 4월 7일 오후 평양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린 2018년 아시아축구연맹(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B조 2차전 한국과 북한의 경기에서 응원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자신들의 '선전장'으로 이용하려 한다고 우려한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에 놓여있는 북한이 '불량 낙인'을 이번 올림픽을 통해 제거하려한다는 것이다.
임재천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선수단을 많이 보낼 수 없는 상황에서 일단 선전 중심으로 가는 것 같다"면서 "한국 국민들은 물론 미디어를 통해 해외로 나가는, 그러한 청중에 대한 선전 효과를 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이는 북한의 호전적이고 비이성적인 이미지를 일부 쇄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세계인의 축제인 올림픽을 통해 강한 '임펙트'를 남기려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선전효과가 주목적은 아닐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북한 선수단이 몇 백 명되면 응원단이 소규모라도 상관없겠지만 이번에는 10~20명 수준"이라면서 "이 때문에 너무 선수단이 초라하니까 응원단으로 보완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이 평창 올림픽을 통해 국제사회의 이미지 쇄신 등을 노리겠지만 그것이 주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노민호 기자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