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자들이 경제 펀더멘털의 호조에 따라 점진적인 금리인상 여지가 높아졌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최근 주식시장을 강타한 인플레이션과 관련, 일부 정책자들이 급상승을 우려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준이 21일(현지시각) 발표한 지난달 통화정책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정책자들은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만큼 미국 경제가 강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정책 위원들은 1월 말 당시 미국 경제가 지난해 말에 비해 상당폭 강화됐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법인세 인하에 따른 기업 신뢰 회복과 임금 상승에 따른 소비자 지출 확대 등 경제 전반에 걸쳐 강한 성장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경기 호조가 올해 지속되면서 연준이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 줄 것이라는 진단이다.
지난달 30~31일 이틀간 열린 올해 첫 회의에서 일부 정책자들이 경기 과열과 인플레이션의 급상승을 우려했던 것으로 드러나 관심을 모았다.
기업 이익이 강한 성장을 보인 가운데 법인세 인하와 임금 상승이 경기 과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월가의 이코노미스트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 개혁이 완전 고용과 임금 상승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번 의사록에서 정책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올해 상승 흐름을 탈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 정책자들은 물가가 가파르게 뛸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사록은 지난달 회의에서 인플레이션이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가운데 대다수의 정책자들이 올해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책자들은 법인세 인하에 따른 효과를 지난해 12월 회의에서 다소 과소평가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법인세 인하 방안이 의회에서 통과된 이후 수 백개에 달하는 기업들이 최저 임금 인상과 보너스 지급 및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른 실물경기 반등과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12월 회의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 밖에 정책자들은 1월 회의에서 금융시장 여건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인플레이션 우려와 국채 수익률 상승에 따른 주가 급락이 전개되기 앞서 열린 회의에서 정책자들은 뉴욕증시의 밸류에이션이 고평가됐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의사록 발표 직후 주식시장은 상승 폭을 확대했다. 다우존스 지수를 포함한 주요 지수가 일제히 1% 선에서 랠리했고, 10년물 수익률도 2.912%까지 오르며 상승폭을 확대했다.
한편 이날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은행 총재는 금융시장이 경제 지표에 과잉 반응하고 있지만 정책자들은 이 같은 행보를 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