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선엽 기자] 자유한국당이 검찰 소환을 앞둔 이명박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나섰다. 올 초까지만 해도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현 정부의 보복수사라며 날을 세웠지만 다스와 국정원 특활비 외에도 MB 개인 비리 의혹이 불거지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특히 삼성전자의 다스 소송비 대납 의혹이 불거진 이후로는 홍준표 당 대표는 물론이고 당 대변인들도 관련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정두언 전 의원은 2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전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가 지난 제 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대선의 당락을 좌우할 ‘큰 실수’를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국민적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이상, 검찰은 진실을 밝히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며 즉각 공세에 나섰다.
![]() |
검찰이 자동차부품업체 다스(DAS)를 이명박 전 대통령 소유라고 잠정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형석 기자 leehs@ |
반면 한국당은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이 전 대통령의 비리 의혹과 관련해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는 것이 정치권의 평가다.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한국당의 태도가 바뀐 것은 지난달부터다. 한국당은 작년은 물론 올 초까지만 해도 이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정치보복'이란 프레임을 유지했다.
국정권 특수활동비 또는 다스 관련 검찰 수사가 이 전 대통령을 향할 때마다 '보수궤멸 시도'라며 반발했다.
예컨대 "완벽한 시나리오를 짜고 노골적인 정치 보복의 칼날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정조준하고 있다"(장제원 수석대변인), "문재인 정권은 정권을 잡은 이후 보수궤멸을 노리고 전임 정권에 이어 전전 정권까지 정치보복성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전희경 대변인)라며 검찰과 현 정부를 질타했다.
당 대변인 뿐 아니라 홍준표 당 대표도 "(검찰의) 망나니 칼춤", "사냥개" 등의 자극적인 어휘를 써가며 검찰 수사에 반발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검찰 조사에서 MB에게 불리한 증언을 연이어 내놓자 한국당도 대응을 자제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중순 검찰발로 MB 재임 중 다스의 미국 소송비용을 삼성이 대납했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로는 MB 수사와 관련해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를 100일 앞둔 시점에서 이 전 대통령과 한편으로 묶이는 것이 유리할 것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출당 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MB와도 확실히 거리를 두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한국당 관계자는 "두 전직 대통령이 모두 직접적으로 당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당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은 자제하자는 것이 당 대표의 판단"이라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