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R&D 거점으로 떠오른 '마곡'…"마곡시대 연다"

newspim |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서울 강서구 마곡이 제약·바이오 연구·개발(R&D)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 LG화학 생명과학 본부를 비롯한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마곡으로 R&D 인력을 집결하거나 이사를 준비 중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오롱생명과학은 마곡 산업지구에 신축한 '코오롱 One&Only타워'에 입주하고,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다.

코오롱 One&Only타워는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 계열사의 R&D 인력을 모아둔 R&D 센터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사무동 3·4층과 연구동 7·8층을 사용한다.

앞서 지난 1월 LG화학의 생명과학 본부 직원 650여 명도 LG그룹의 융복합 R&D 단지인 마곡 LG사이언스파크로 사옥을 옮겼다. 임상개발센터 직원뿐 아니라 영업·마케팅 조직, 본부 조직 등도 이사했다.

중견 제약사인 한독과 바이오 업체 제넥신의 R&D 인력들도 2020년께 마곡으로 거처를 옮길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진제약 중앙연구소, 오스템임플란트도 마곡으로 이사를 할 예정이다.

한독 관계자는 "현재 경기도 판교, 서울 중랑구 중화동, 서울 강남구 역삼동 등에 흩어져 있는 R&D 조직을 한곳에 집결시킨 R&D 센터를 만들 예정"이라며 "R&D 조직을 한데 모아 시너지를 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마곡으로 모이고 있다. R&D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관련 분야를 강화하고, 시너지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특히 마곡지구는 서울의 마지막 대규모 개발단지인 만큼, 제약·바이오 업체들에 매력적인 곳이다. 마곡지구의 규모는 축구장의 513배, 여의도 면적의 2배인 366만5000㎡다.

여기에 대우조선해양이 마곡지구에 부지를 보유하고 있다가 이를 포기하고 매각하면서 분양가격이 싸졌다. 대우조선해양은 2016년 4월 경영난으로 부지를 매각하기 시작했다. 개별 필지 매각으로 방식을 바꾼 후에는 한독, 제넥신, 오스템임플란트 등이 각 필지를 사들였다.

마곡의 위치가 김포, 인천 등 공항과 가깝고, 서울지역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수출에도 유리한 데다가 우수 인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재 영입이 중요한 제약·바이오 기업 입장에서는 사옥이 서울과 얼마나 가깝느냐가 관건"이라며 "기존에 판교, 송도 등에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몰린 것도 이러한 이유"라고 말했다.

newspim photo
서울 강서구 마곡에 위치한 '코오롱 One&Only타워'<사진=코오롱생명과학>

 

keun@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