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강동석 학예연구 실장은 6월 중으로 아라가야 왕성터 2.3km 반경까지 조사를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 실장은 7일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일대에서 열린 아라가야 왕궁추정지 대규모 토성, 목책 발견 기자간담회에서 왕성터 조사 발굴 결과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유적지로 발견된 이곳은 원래 사유지다. 이달 안에 함안군과 소유주에 사용동의를 받을 예정"이라며 "그 후에는 조사지 주변에 트렌치(땅 단면을 살펴보는 방법)를 설치해 더 조사할 계획이다. 반경 2.3km 내에 왕성 유적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문헌이나 구전으로만 내려오던 아라가야 왕성의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한 사건이다. 이춘선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실장은 "주변에 남문외 고분군이 있기 때문에 이 주변에 왕궁이 있을 거란 추측은 있었지만, 실제 조사에 착수한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왕궁 추정지에 대해서는 "마리산 앞쪽, 남문외 고분군 근처 공단까지 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아라가야 왕성 발굴은 올해 4월11일 경작지 조성부지에서 유적 노출현장이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사유지였던 이 땅을 소유주가 평탄하게 경작지로 가공하려다 목탄층이 드러난 것이다. 목탄층은 땅을 단단하게 다지기 위해 땅에 나무를 태워 재를 만들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축조공법이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토성은 가야권역에서 발견된 동시기 유적과 비교할 때 그간 발견된 사례가 없는 축조기법과 규모를 보여준다. 아라가야 왕성(토성) 벽은 흙을 쌓는 과정에서 벽이 밀리지 않도록 축조 공정마다 목주를 설치했으며 판축상의 성토다짐을 하는 등 정교한 대규모 토목공사가 이루어졌다.
전체 높이는 약 10m, 상부는 폭 20~40m 내외이며 경사져 있다. 성벽 축조는 구지표면의 일부 삭토, 풍화암반토와 점질토를 이용한 정지면 형성, 성토다짐과 평탄지 조성 4단계로 이뤄졌다. 대규모의 목책(木柵, 울타리) 시설을 보아 이 토성은 방어의 목적이 크다고 강동석 실장을 추정했다.
이번 아라가야의 왕성터 조사로 아라가야 최고지배층의 실체를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본서기' 흠명기 552년 기록에 '안라왕(安羅王)'이 등장해 아라가야에 왕이 실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발굴성과를 기초로 거주공간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고분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진행됐지만 최고지배층의 생활상과 그 실체를 구명할 수 있는 고고자료가 충분하지 않았다.
강 실장은 "이번 아라가야 왕성 발굴조사는 당시의 토목기술과 방어체계, 생활문화 전반에 대한 다양한 고고자료를 제공해 아라가야 전모에 다가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