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유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첫번째 여름휴가지로 28일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봉정사를 찾았다. 문 대통령이 봉정사를 찾으면서 봉정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다른 산사들에 대해서도 자연스레 관심이 퍼져가고 있다.
이번 여름휴가는 문대통령처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산사 7곳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뉴스핌이 그 중에서 봉정사, 법주사, 통도사를 추천한다.
◆경북 봉정사
![]() |
봉정사의 극락전 [안동=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youz@newspim.com |
문재인 대통령이 여름휴가지로 처음 방문한 경북 봉정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극락전이 있는 곳으로 전체적으로 풍기는 분위기가 고풍스럽다. 절의 중심인 대웅전은 국보 제 311호, 극락전은 국보 제15호로 작은 규모의 절이지만 보물로 꽉꽉 채워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현존하는 목조건물이라 더욱 의미가 깊다. 봉정사라는 이름은 통일신라 때 부석사에서 종이로 만든 봉황을 바람에 날려 닿은 곳이라 하여 봉정사라고 붙여졌다.
◆충북 법주사
![]() |
법주사 [충북=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youz@newspim.com |
속리산 산자락에 위치한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한 산사다. 법주사의 상징이기도 한 우리나라 유일한 목탑인 국보 제55호 팔상전을 볼 수 있다. 팔상전은 안에 부처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에서 따와서 만든 이름으로 법주사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법주사는 당간지주, 쌍사자석등, 석련지를 비롯해 동양에서 가장 큰 불상인 금동미륵대불까지 여러 국보를 만날 수 있다.
◆경남 통도사
![]() |
통도사의 영산전 [경남=뉴스핌] 김유정 여행전문기자 = youz@newspim.com |
해인사, 송광사와 함께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는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있어 불보(佛寶)사찰이라 한다. 통도사라는 이름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의 영취산 모습과 통해 지어졌다고 한다. 통도사의 대웅전 및 금강계단은 국보 제290호로 특히 금강계단은 부처님이 항상 그 곳에 있다는 상징성을 띠고 있어 특별하다.
yoomi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