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문재인 정부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 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
남·북·미 ‘1.5트랙(반민반관)’ 협의를 추진하고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방안을 두고 미국과의 협의를 추진하는 한편 북한과는 이달 중 군사회담을 갖는다는 밑그림을 내놨다.
4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조명균 통일부 장관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계획을 보고 받았다.
강 장관은 “분석·평가를 하면서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북미 사이에 핵심 쟁점이 영변 플러스알파에 대북제재 해제라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그러면서 “앞으로 북미 간에 협상이 재개될 때 이 내용이 핵심 관건이고 이것이 향후 협상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연락사무소 종전선언 등 다른 조치에 대해서는 사실상 합의에 이르렀던 만큼, 앞으로는 영변 플러스알파 대 제재해제라는 핵심 쟁점에만 북미 사이의 협상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강 장관은 이어 “양쪽 간의 최종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 두 정상 차원의 신뢰를 재확인하고 대화 모멘텀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은 긍정적인 요소”라고도 했다.
강 장관은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서는 “실질적 중재안을 마련하겠다”며 “북미 간 대화 재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장관은 구체적으로 “(최근) 스웨덴 남북미 회동 지난번에 있었다. 최선희 비건 모였던 이런 경험 바탕으로 1.5 트랙 협의를 개최하는 협의를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강 장관은 또 “중국, 러시아 등 관심을 갖는 나라들과의 협조를 통해서 북미 대화가 조속히 재개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명균 장관은 북한의 향후 상황에 대해 “북한이 이번 회담 결과를 평가하고 대미, 대남전략을 재검토하는 과정을 가질 것”이라며 “북한의 내부 정치 일정과 상황 정리에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조 장관은 이어 “긴밀한 한미 간 협의를 바탕으로 남북공동선언 합의 내용을 이행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겠다”며 “대북제재의 틀 안에서 공동선언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도 했다.
조 장관은 특히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해서는 재개 방안을 마련해서 대미협의를 준비하겠다”고 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수습기자 = 정경두 국방부장관 pangbin@newspim.com |
정경두 장관은 “굳건한 연합방위 태세 유지하기 위한 한미 사이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 “북쪽과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9.19 군사합의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며 “3월 중 남북 군사회담 개최를 통해서 올해 안에 기획된 9.19 군사합의 실질적인 이행방안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