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보 "매각 전 한건이라도 더 팔자"...금감원 권고도 무시

증권·금융 |
판매 독려 위해 현금 보너스 350%...120만원 해외여행 중복 적용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롯데손해보험이 매각 전 몸값 올리기에 한창이다. 설계사들에 금융감독원의 권고 수준을 뛰어넘는 시책(판매 독려 인센티브)까지 제시하면서 보험 판매를 독려하고 있다.

newspim photo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은 오는 8일까지 일부 대리점 소속 설계사들에게 장기 보장성 인(人)보험 판매 시 현금시책 350%를 제공한다. 장기 보장성 인보험이란 암보험, 건강보험, 자녀보험 등 질병이나 사고 등을 보장하는 동시에 만기가 긴 상품을 의미한다.

가령 이달 설계사가 초회보험료(가입 첫달 내는 보험료) 10만원 이상을 계약하면 35만원의 판매 보너스를 더 지급하는 것이다. 다만 보험료 한도는 최대 30만원까지. 즉 30만원을 계약하면 105만원을 받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을 계약해도 보너스는 105만원으로 동일하다.

이에 대부분의 보험설계사들은 30만원 이하를 계약한다. 롯데손보도 약 70%의 설계사가 30만원 이내를 계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롯데손보 상품을 판매하는 설계사 대부분이 350%에 달하는 시책을 받게 되는 셈이다.

문제는 350%의 시책이 금융감독원의 권고 수준을 뛰어넘는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초 보험사들의 과도한 판매 경쟁을 억제하기 위해 시책 적정선을 초회보험료의 250% 이내로 제시했다. 시책이 보험료를 결정하는 사업비(보험료에서 떼는 수수료)의 중요 요소이기 때문이다. 시책이 늘면 그만큼 지출되는 사업비도 증가해 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판매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니 회사 수익을 늘리기 위해 향후 보험료를 높일 수 있다. 

롯데손보는 지난달에도 장기 보장성 인보험을 매월 20만원씩, 석달 연속 판매한 설계사에 80만원을 지급하는 시책을 걸었다. 4개월 연속 달성한 설계사에는 현금 120만원이나 이탈리아 여행 중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오는 5월까지 진행된다. 즉, 롯데손보의 일부 설계사는 보험 판매 후 두 가지 시책을 함께 받을 수 있는 것. 중복 지급하면 롯데손보는 많은 설계사들에게 금감원의 권고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시책을 지급하게 된다.

보험업계에선 이러한 롯데손보의 움직임을 매각과 연관짓는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시책을 많이 줄수록 사업비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롯데손보의 경우 지금까지 이 이정도의 시책을 건 경우가 없다"며 "하지만 최근 시책을 높이면서 설계사들 사이에서 롯데손보가 매각 전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다는 얘기들이 나온다"고 말했다. 

특히 시책을 건 보험상품이 장기 보장성 인보험이라는 점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보탠다. 손보사들은 암, 건강(질병·상해), 운전자, 어린이 등 인보험을 판매한다. 이는 고객 수요가 많은 상품들이어서 설계사들이 영업하기 수월한 편이다. 

롯데손보는 지난해 매각이 공식화됐다. 오는 10월까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가 금융회사를 자회사나 손자회사로 둘 수 없다'는 금산분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다. 이에 롯데그룹은 지난달 MBK파트너스와 한앤컴퍼니, JKL파트너스 등 총 5곳을 롯데손보의 적격 예비인수후보로 선정한 뒤, 현재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입찰 예정시기는 내달 초다. 

milpark@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