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데이터와 인공지능(AI), 수소'로 상징되는, 이른바 3대 플랫폼에 올해 5000억원 넘게 연구개발(R&D) 투자비가 집중된다. 정부 R&D 예산은 처음으로 올해 20조원을 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과기정통부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올해 국가 R&D 혁신을 본격 추진한다. 정부 R&D 예산을 8대 혁신성장 선도분야(8944억원)와 3대 플랫폼(5007억원)에 집중 투자한다.
과기정통부는 또 4차산업혁명에 본격 대비하기 위해 4만명의 4차 인재양성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2019년도 업무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03.07. [사진=과기정통부] |
◆ R&D 20조원 투자..혁신성장과 삶의질 향상 주도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올해 정부 R&D 투자규모가 20조원을 돌파했다. 하지만 전통적 주력산업의 기술우위가 축소되는 상황에서 중장기적 국가 성장잠재력 확보를 위한 R&D 투자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를 지난해 1조4200억원 규모에서 올해 1조7100억원으로 대폭 늘리는 등 중장기적 성장잠재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재난‧안전 대응(1조원), 미세먼지 저감(1127억원)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다양한 범정부 혁신 어젠다를 발굴하고, 관련 부처의 R&D 정책을 총괄 조정·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학생연구자의 안정적 생활비 지급, 연구의지와 역량을 가진 연구자가 단절 없이 연구할 수 있도록 재도약 연구 신설 등 과학기술인 권익 보호와 지원도 강화한다.
특히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관련 범부처 협력을 주도하는 동시에, 미래 유망분야 핵심 원천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2조원 규모 범부처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비롯해 바이오-ICT 융합기술 개발과 친환경적 수소 생산‧저장기술을 통해 바이오‧수소경제를 실현하는 데 본격 시동을 건다.
‘꿈의 컴퓨팅’이라 불리는 양자컴퓨팅 기술, AI와 반도체를 접목한 지능형반도체 기술 등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산업 핵심기술도 개발한다.
작년 시험발사체 발사 성공을 통해 검증한 자체 개발 75톤 엔진기술을 바탕으로 누리호 1‧3단부를 본격 제작해 2021년 우주 발사체 자력 발사도 차질 없이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 |
과기정통부 문미옥 1차관이 7일 2019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19.03.07. [사진=과기정통부] |
◆ 4차 산업혁명 선도 핵심 인재 4만명 육성
과기정통부는 4차 인재 육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와 인공지능 대학원 3곳을 신설해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또 관련 업계에 즉시 투입 가능한 맞춤형 청년 인재 1400명과 SW 현장인력 3000명 등 실무형 인재도 양성한다.
또 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초학제‧융합연구, 무학점제 등 유연한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이공계 교육혁신을 선도해나갈 이공계 연구중심대학 육성방안을 마련한다.
SW 핵심교원 2600명을 양성하고 SW교육 선도학교를 1800개 학교로 확대하는 등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또한 R&D 성과에 기반한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 강소특구 지정 및 연구소기업 확대 등 과학기술‧ICT 분야의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유아 대상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모바일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뱅킹, 기차표 예매 등 활용교육도 실시한다.
저소득층 고등학생 12만명이 EBS 교육 콘텐츠를 모바일로 무제한 무상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치매환자 간병보조 로봇,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학습을 돕는 AI가정교사, 청각장애인 음성인식 위험상황 안내 기술도 실증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내버스에 공공 와이파이 약 2만개, 도서‧벽지 등 전국 공공장소에 1만개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