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41개 식량부족 국가에 북한 포함...평양시민 10명 중 1명 영양결핍

정치 |
유엔식량농업기구 “北, 외부지원 필요한 41개 식량부족 국가”
유엔식량계획 “폭염·홍수 겹쳐…올 해식량 배급량 절반 줄었다”

[서울=뉴스핌] 신지호 수습기자 = 북한이 다시 식량부족국가로 지정됐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가 최근 발표한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2019년 1분기 보고서에서 북한을 외부 지원이 필요한 41개 식량부족 국가군에 포함시켰다고 보도했다.

영양실조에 시달리는 북한 어린이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해 7월과 8월 북한의 곡창지대에 비가 내리지 않고, 온도가 높아 가뭄이 심했다면서 쌀농사가 전년보다 못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지난해 기후 때문에 곡물수확이 감소하면서 식량부족이 심화되는 등 식량불안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북한 당국이 수입하거나 인도주의 국제지원으로 메워야 할 식량 부족량이 약 64만 1000톤에 이른다"고 밝혔다.

아울러 식량농업기구는 북한이 만성적인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홍수·가뭄 등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농기계·비료 등이 부족한 점을 꼽았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도  "북한이 몇 년간 연간 540만~560만톤의 곡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왔는데 작년에 490만톤으로 뚝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WFP은 현재 북한에서 활동 중인 몇 안 되는 국제인도주의 단체다. 프라빈 애그러월 WFP 평양소장은 지난 9일 방한해 "북한이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식량 배급량을 절반으로 줄였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