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정부가 논란이 많은 10년 임대 후 분양전환 임대 아파트를 앞으로 새로 지정하지 않고 예정된 물량을 국민임대 등 장기임대로 공급하기로 했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0년 임대로 계획된 물량 7만 가구 중 모집공고까지 끝낸 4만 가구는 계획대로 공급하고 남은 3만 가구는 장기 임대 형태로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10년 임대 물량을 점차 축소하더라도 축소분 이상으로 장기임대를 공급할 예정이다”며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반적인 공공임대 공급 계획은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오는 2022년 까지 총 69만5000가구의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추진 중이다.
분양전환 조건을 변경해 달라며 판교를 비롯한 10년 임대 아파트 주민들의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국토부는 기존 계약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는 대신 분양을 원하는 임차인에 대해 장기저리 대출 상품을 제공하거나 분할 납부를 허용해주고 분양을 원치 않는 임차인에게는 최대 4년간 거주할 수 있게 해주는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주민들의 반발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