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제129주년 세계 노동절을 맞아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고 메시지와 함께 노동계의 상생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1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노동은 인류의 문명을 만들었다. 예술적 영감이 깃든 노동이든, 숙련 노동이든, 단순 노동이든, 생산직이든, 사무직이든 노동은 숭고하다"며 "노동은 그에 걸맞은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존중 사회는 우리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이라며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는 모두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그것을 통해 노동의 질을 높이고자 한 정책들"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정책만으로 하루아침에 사회가 달라질 순 없겠지만,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정은 갈수록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높여줄 것"이라며 "고공 농성이나 단식 등으로 고생하던 노동자들이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도 다행스럽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쌍용자동차와 KTX 여승무원, 파인텍, 콜텍악기 등 오랜 노동문제들이 해결된 점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노사정이 함께 하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조속한 정상화로 좋은 결실을 이뤄내길 기대한다"며 "정부도 항상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노동계 또한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로 함께해 달라"며 "과거 기울어진 세상에서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 노동은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 노동으로 꿈을 이루고, 노동으로 세계를 발전시키고, 노동으로 존경받을 수 있는 나라를 이뤄내고 싶다"며 "숙련공, 기능공, 마스터들이 우리의 일터 곳곳에서, 또는 사회 곳곳에서 주역으로 대접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