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고은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주미대사관의 외교관이 한미 정상 간 전화통화 내용을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유출한 사건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 참석차 프랑스 파리를 방문 중인 강 장관은 24일(현지시간) 주OECD 한국대표부에서 현지 특파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정상 간 통화라는 민감한 내용을 공무원이 의도적으로 흘린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그동안 외교부에서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있었지만 이번 사건은 공무원이 의도적으로 기밀을 흘린,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외교부 전체가 비판받게 되고 외교부에 대한 국민 신뢰가 무너져 장관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미국이 우리 측에 이 사건과 관련해 의견을 전달해온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취임 후 불필요한 밤샘 근무나 대기, 주말 근무를 많이 없앴는데, 이런 실수로 외교부가 비판받게 되면 아무래도 직원 사기가 많이 떨어진다"며 "실수의 경중을 따져서 문책하는 것이 직원들의 프로페셔널리즘과 사기를 진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한미 정상 통화를 유출한 A 공사참사관에 대해 깊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번 유출사건 당사자는 능력이나 직업윤리와 의식에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사람이라고 장관으로서 생각했는데, 그 신뢰가 져버려진 상황"이라며 "제 스스로도 리더십이 부족하지 않은가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간관리자의 큰 역할 중 하나는 외교를 잘하는 것뿐 아니라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귀감이 돼야 하는 것도 있다"며 "이런 일로 국민의 신뢰가 무너져 장관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편 강 장관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책임지고 해결해달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각료급 회담에서 상대편의 정상을 거론하는 것은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했다.
강 장관은 일본이 한일청구권 협정에 따른 중재위 개최를 요구하는데 대해서는 "일본이 요구하는 중재 절차는 신중하게 검토 중이며 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 문제가 단순히 법적인 문제를 넘어 역사와 인권의 문제이며 근본적인 사안을 치유하지 않고서는 해결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go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