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뉴스핌] 정경태 기자 = 전남 신안군은 신안 장도 람사르습지 일대에서 국제보호종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조류 섬개개비가 최소 백여 쌍 이상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또 매, 긴꼬리딱새, 흑비둘기, 팔색조 등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130종 이상의 조류가 번식지이자 서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은 지속적인 조류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종과 서식지 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계획이다.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 Styan’s Grasshopper Warbler)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자료목록(Red-list)에 취약종(VU)으로 분류된 국제적 보호종이다.
지구상에 2500~1만 개체만이 잔존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매우 희귀한 조류다. 국내에서도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주로 한국, 일본 남부 등의 섬과 해안에 국지적으로 드물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6~8월에 번식하며 동백나무나 돈나무 등 관목의 줄기에 벼과 또는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해 둥지를 짓는다.
장도습지는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고,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돼 훼손되지 않은 생태계가 유지되고 있어 섬개개비가 서식하기에 알맞은 자연환경이다.
아울러 이번 조사 결과 장도에서는 섬개개비 뿐 만 아니라 멸종위기 1급 매와 2급 긴꼬리딱새, 천연기념물 두견이 등 다양한 보호종이 번식하는 것이 확인됐다.
신안군 관계자는 “흑산면 일대 섬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조류 모니터링을 실시하겠다”며 “섬개개비와 같은 국제호종의 번식 현황을 파악해 서식지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t336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