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동 기자 = KDB생명이 자산가를 끌어들여 외형을 확대하기 위한 달러저축보험을 출시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이동걸 회장 임기 이내(2020년9월)에 몸집을 불려 몸값을 높인 후 매각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전략적 상품이다. 하지만 확정고금리를 약속한 이 상품이 많이 팔릴수록 향후 KDB생명의 체력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DB생명은 최근 달러저축보험을 출시, NH농협은행 등 방카슈랑스(은행에서 보험 판매) 채널을 중심으로 판매에 나섰다. 이 상품은 ▲3년 3.1% ▲5년 3.0% ▲10년 3.1%의 확정금리를 적용한다. 일시납 상품으로 가입금액은 ▲최소 1만달러(1160만원) ▲최대 500만달러(58억원)다.
은행 예금금리는 약 1.5%에 불과하지만 이 상품은 그 2배 정도인 약 3.0%의 확정금리를 지급한다. 이에 자산가나 법인의 잉여자금을 급속도로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만기가 짧을수록 높은 금리를 적용하는 탓에 3년 만기 상품에 자금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소기업 대표의 퇴직금 마련 상품으로 주목을 받을 경우 이 상품이 더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법인 자금을 급격히 빨아들일 수 있다.
계약자 및 보험수익자가 법인이고 피보험자가 해당 법인의 대표이사일 경우 법인이 보험료를 전액 납입한 후 피보험자를 법인→대표이사로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보험료는 법인이 내지만 수익은 전액 법인 대표가 취할 수 있다. 일명 'CEO 플랜'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체력 더 악화시킬 문제 상품
문제는 이 상품이 향후 KDB생명의 체력을 더 악화 시킬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이 상품은 3.1%(3년 만기) 확정금리를 지급한다. 가입자에게 이처럼 높은 금리를 지급하기 위해 KDB생명은 최소 4% 이상의 투자영업이익을 얻어야 한다. 그러나 지난해(1월~10월) KDB생명의 운용자산이익률은 3.0%에 불과하다. 즉 보수적으로 봐도 KDB생명은 이 상품을 판매할수록 이차역마진을 본다는 의미다.
보험사들은 오는 2022년 새국제회계기준(IFRS17)으로 제도가 변경된다. 현가평가 하는 보험 부채를 시가평가 한다는 게 제도 변경의 골자다. 이에 저금리 추세로 과거 고금리저축보험을 대규모로 판매했던 KDB생명은 보험부채의 폭발적 증가가 예상된다. 또 보험사의 순이익 산출 방법도 보험료 중심에서 계약서비스마진(CSM, Contractual Service Margin)으로 변경된다. 이에 지난해 매물로 나온 KDB생명이 시장의 주목을 받지 못한 것.
즉 KDB생명은 지금도 보험부채 확대가 가장 큰 문제다. 게다가 이 상품 판매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보험부채가 더 증가하는 동시에 CSM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 극심한 요요현상 부를 듯
KDB생명은 지난해에 보장성보험 중심으로 체질개선을 했다. 초회보험료 기준으로 보장성보험 비중은 70%대로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보장성보험은 저축성보험 대비 수익성이 높다. 그러나 KDB생명의 체질개선은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에 따른 게 아닌 저축성보험 판매 감소에 영향이 더 컸다.
즉 체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근육을 늘린 게 아닌 굶는 방법으로 살을 뺀 거다. 그런데 전략적 상품으로 다시 저축보험을 내놓음에 따라 극심한 요요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다.
다수의 보험업계 전문가들은 "IFRS17 개편 전에 저축성보험 판매를 끌어올려 당기순이익 감소를 방어하고 외형을 확대한다는 전략으로 이 상품을 내놨을 것"이라면서도 "KDB생명 달러저축보험은 수익은커녕 손실이 불을 보듯 뻔한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0I0870948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