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일본 엔화 환율이 달러 당 101엔 후반을 기록하는 등 일본 엔화 가치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9일 닛케이225지수의 2만선이 무너졌다. 코로나19 공포가 확대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에 유가 하락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등 금융정책으로 막을 수 없는 요인들 때문에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는 만큼, 닛케이 하락세가 어느선까지 계속될지 전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닛케이지수는 이날 오전 11시 24분 현재 1만9568.15엔을 기록하고 있다. 2019년 1월 7일 이후 1년 2개월만에 장중 2만엔선이 깨진 것으로, 전 거래일 대비 1181.60엔 하락했다.
엔화가치가 급등하면서 일본 수출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엔화는 오전 11시 19분 현재 1달러 당 101.94엔까지 떨어지면서, 지난 2016년 11월 이래 약 3년 4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탈리아 일부 지역이 봉쇄되고 미 뉴욕주가 비상사태를 선언하는 등 '코로나19 공포'가 아시아 외까지 번진 탓이었다.
일본 전문가들은 엔고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가라카마 다이스케(唐鎌大輔) 미즈호(みずほ)은행 치프 마켓 이코노미스트는 "엔화가 심리적 마지노선인 달러 당 100엔을 뚫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망했다.
그는 코로나19 우려로 미국이 추가 금리인하를 할 관측이 높다며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높은 미국이 금리 인하를 계속한다면 미·일 금리 차가 점점 축소돼 엔고를 멈출 수 없게 된다"고 분석했다.
닛케이지수도 급락했다. 오전 10시 51분 현재 닛케이지수는 1만9572.52엔으로 전영업일 대비 1177.23엔 하락했다. 닛케이지수가 장중 2만엔 선을 밑도는 건 2019년 1월 7일 이후 약 1년 2개월만이다. JPX닛케이지수400과 도쿄증권주가지수(TOPIX)도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엔고로 인해 일본 수출 기업에 대한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면서 닛케이 급락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석유수출국기구(OPEC)과 러시아 등 비 회원 산유국들이 감산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유가가 급락한 것도 투자심리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 외에 이날 오전 발표된 실질 국내총생산(GDP) 개정치도 경기 침체 우려를 부채질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각부는 지난해 10~12월 살잘 GDP 개정치가 전분기 대비 -1.8%(연율환산 - 7.1%)라고 발표했다. 이는 앞서 발표된 속보치 -1.6%(연율 환산 -6.3%)보다 악화된 수치였다.
와코 쥬이치(若生寿一) 노무라증권 에퀴티마켓 전략가는 "주가 하락 배경이 저유가나 코로나19 감염확대 등 금융정책으로 막기 어려운 요인이라 어느 선에서 하락을 멈출지 전망하기 어렵다"며 "2018년 12월에 기록한 1만9150~1만9200엔 수준이 하한가가 아닐까 싶다"고 전망했다.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