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국제유가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사상초유의 폭락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일명 '삼통유(三桶油)'라 불리는 페트로차이나(CNPC), 시노펙(SINOPEC), 중국해양석유(CNOOC) 등 중국 3대 국영 정유업계 거물들도 막대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으로서 유가가 떨어지면 그만큼 싼값에 원유를 들여올 수 있는 만큼, 저유가 흐름은 국가적 차원에서는 호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3대 정유업체의 입장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원유 수요가 계속 줄고 이에 초(超)저유가 국면이 지속될 경우 실적 급락, 주가 약세 등의 충격을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산유국들이 셰일(암석)가스 패권을 두고 가격경쟁을 벌이면서 유가가 급락했던 2014년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무엇보다 글로벌 정유업계들은 초저유가 국면이라는 최대 난국을 맞아 비용절감과 원유감산이라는 자구책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분위기지만, 이들 중국 3대 정유업체는 비용절감에 나서면서도 생산은 계속 늘려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어 저유가 시대 속 난관 타개가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 3대 정유업계 거물도 실적·주가 타격에 '휘청'
20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 유가를 기록한 데 이어, 21일 6월물 WTI와 '글로벌 벤치마크' 유종인 6월물 브렌트유까지 폭락하며 국제유가는 이틀째 대폭락세를 이어갔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財新)은 유가가 마이너스로 떨어지기 전인 지난주 기준으로, 3대 정유업체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추정해 산출한 풀 코스트는 배럴당 40~60달러의 수준에서 충당할 수 있으나, 현재는 그에 훨씬 못 미치는 배럴당 20~30달러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보도했다. 원유 1톤을 생산하는 동시에, 1톤을 손해 보는 셈이다.
지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페트로차이나와 시노펙의 실적을 살펴보면, 큰 변동을 겪기는 했으나 단 한번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은 없었다. 정유업계가 지금까지 최악의 시기로 지목하는 지난 2014년 4분기에도 전년동기대비 하락하긴 했지만 손실을 보지는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라는 복병이 등장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실적은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원유 수요 회복에 따른 유가 반등 가능성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수의 권위 있는 글로벌 연구기관은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글로벌 원유 수요가 매일 1000만~3000만 배럴(10~30%)까지 줄어들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펑화강(彭華崗)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 비서장 겸 대변인은 지난 20일 열린 '1분기 중앙기업 경제 운용 현황 언론브리핑'에서 "국제유가 폭락 사태는 중국 국가 경제의 운용비용 절감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중국 정유업계를 대표하는 중앙기업들에게는 경영수익이 대폭 하락하고 1분기 마이너스 실적을 기록하는 등으로 큰 충격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기업의 주가 또한 하락세를 걷고 있다. 대표적으로 연초 상하이증권거래소에서 주당 6.23위안에 거래되던 페트로차이나(中國石油, 601857.SH)의 주가는 사상 최초로 국제유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21일 기준 4.55위안까지 떨어졌다. 이와 함께 시가총액 또한 중국증시는 물론 홍콩증시(中國石油股份 00857.HK)와 미국증시(PTR, NYSE)에서도 상장이래 최저치로 추락했다. 22일 기준 페트로차이나의 시가총액은 상하이증권거래소에서 8254억2500만 위안을, 홍콩증권거래소에서 4959억8700만 홍콩달러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621억1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이허우량(戴厚良) 페트로차이나 대표는 지난 3월 중하순경 개최된 내부 회의에서 회사가 '힘든시기(緊日子)'를 맞이했다며 난관에 직면한 업계의 현 상황을 전했다. 장위줘(張玉卓) 시노펙 대표는 지난 3월 23일 개최된 '100일 난관타개 효과창출 행동 동원 대회'에서 "대범하게 하고, 열심히 하며, 빨리 해야 한다"면서 현재의 위기를 현명히 이겨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둥진(汪東進) 중국해양석유 대표 또한 4월 7일 열린 '저유가 도전 돌파를 위한 전략' 화상 회의에서 "저유가 시대를 맞아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 '비용절감' 동시에 '원유생산 지속' 이중고
초저유가 국면이라는 최대 난관을 맞이해 글로벌 정유업계가 비용절감과 동시에 원유감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중국 3대 정유업체는 비용은 절감하되, 생산과 비축분은 계속 늘려야 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직면했다.
올해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저유가 국면의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3대 정유업체는 비용을 줄여가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분위기다.
페트로차이나는 지난달 31일 화상회의를 통해 배럴당 20~45 달러 구간 내에서 유가 변동폭에 따른 비용 절감안을 제시했다. 본 절감안에 따르면 유가가 배럴당 35 달러를 계속 밑돌 것이라는 가정 하에, 올해 자금 지출을 20%~30%(약 5990억~890억 위안) 줄인다는 내용이다. 시노펙은 올해 자금 지출을 2.5% 정도 줄일 것으로 추산하면서, 올해 생산경영계획을 조정하고 있는 중이다. 중국해양석유 또한 총비용을 10% 이상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원유 수요가 지속 하락하면서 원유 채굴 및 생산 이후의 작업에 관여하는 다운스트림(수송, 정제, 판매) 부문의 수익에도 먹구름이 낀 만큼, 다운스트림 부문의 수익을 통해 업스트림(생산부문) 부문의 손실분을 메우는 것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이들 중앙기업이 관리하는 낙후된 유정의 자원은 이미 고갈 위기에 직면해 있는 반면, 인력은 넘쳐나 운영비용 또한 동종 글로벌 기업에 비해 높은 편이라는 점도 비용절감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2018년 기준 페트로차이나 직원 수는 47만6000명이었다. 페트로차이나와 자산 규모가 비슷한 미국 석유화학 기업 엑슨모빌의 경우 같은 해 직원 규모가 7만1000명으로 페트로차이나의 15%에 불과했다. 시노펙과 중국해양석유의 직원 규모 또한 수십만명에 달한다.
무엇보다 이들 기업은 '원유 비축 및 생산 확대 7년 행동 계획'이라는 명목 하에,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원유의 생산과 비축분까지 늘려야 하는 '이중고'에 직면해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된다.
중국 3대 정유업체는 매년 막대한 자금을 원유채굴 및 생산에 쏟아부어 왔다. 대표적으로 페트로차이나가 계획한 올해 자금 지출 규모는 2950억 위안이고, 그 중 78%에 달하는 2301억 위안은 채굴 및 생산에 사용할 계획이었다.
페트로차이나는 "(저유가 국면에도) 중국 원유 생산량 하락을 막고, 높은 비축율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뤼젠중(呂建中) 페트로차이나 경제기술연구원 부원장은 "중국은 원유 소비 및 수입 대국이지만, 현재 전세계를 비롯해 중국도 원유 비축 능력에 한계가 있다"면서 "전략적 비축 및 상업적 비축을 늘릴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강구해 미래의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타 글로벌 기업들은 원유감산에 나서고 있다. 영국 석유화학기업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은 올해 액화천연가스(LPG) 생산량을 전년동기대비 하루 당 7만 배럴 감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25%(40억 달러)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규모다. 미국 석유회사인 코노코필립스(Conoco Phillips) 또한 올해 하루당 2만 배럴의 LPG 생산량을 줄여, 비용의 10%(7억 달러)를 줄이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 3대 정유업체는 원유 가격이 하락하자 원유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을 줄였고, 이는 중국 전체의 원유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다. 특히, 2015년 이들 3대 업체는 지출의 30~40%를 줄인데 이어, 2016년에도 15~30% 줄이며 생산 규모를 축소해갔다. 그 결과 2016~2018년 중국 원유 생산량은 3년 연속 감소했고, 수입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중국의 원유 수입량은 4억6200만 톤으로 2015년과 비교해 38%나 급증했고, 원유 수입 의존도 또한 70%로 치솟았다.
이에 2018년 7월 중국 당국은 이들 기업에 생산 역량을 강화해 에너지 안전 확보에 나설 것을 지시했다. 이에 3대 정유업체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는 '원유 비축 및 생산 확대 7년 행동 계획'에 나서기 시작했다. 지난해 페트로차이나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50억 위안을 투자해 원유 채굴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8년과 비교해 5배나 커진 규모다. 시노펙 또한 해외 업스트림 생산 역량 강화 계획을 밝혔고, 중국해양석유 또한 생산량 및 비축량 확대 계획을 전했다.
중국대외경제무역대학 둥슈청(董秀成) 교수는 "생산량 및 비축량 증대는 비용절감 방향과 모순이 발생한다"면서 "3대 정유업체는 원유 채굴 및 생산을 축소하길 원하나,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상의를 해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