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낡은 서울 금천구청역을 상업·업무시설을 갖춘 복합역사로 새로 짓고 유휴부지에 230가구 규모의 행복주택을 건설한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금천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함께 '금천구청역 복합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노후 역사를 현대화하고 폐저유조 부지에 G밸리(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 청년수요를 유인할 주택, 창업공간, 편의시설 등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금천구청역은 기존의 낡은 역사(연면적 900㎡)를 철거하고 연면적 1600㎡ 이상의 규모로 2배 가까이 확장한다. 편의시설도 확충하고 근린생활·상업·업무·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역사로 건설될 예정이다. 안양천과 연결되는 공공보행통로도 설치한다.
폐저유조 부지에 조성되는 행복주택은 인근 산업단지, 대학교 등 지역수요를 반영해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주변시세의 60~80%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총 23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주요 층마다 다목적 주민공동시설을 배치하고 저층부에 상업시설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들어선다.
한국철도는 이달 중 복합역사개발을 위한 민간사업자 공모에 들어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인허가 절차 등을 거쳐 연내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 완공 목표다.
지난 1981년 지은 금천구청역은 서울시 내 역사 중 출구가 하나뿐인 유일한 역이다. 금천구 종합청사와 도하단 미니신도시 개발 등으로 유동인구가 급증해 시설개선 시급한 상황이다.
김규철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이번 사업은 도심 내 노후한 역사를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공주택 공급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의미있는 사례"라며 "앞으로 지자체, 공공기관과의 협업으로 쇠퇴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서민주거 안정을 위한 공공주택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