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분야 최고 석학인 승현준(세바스찬 승)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를 삼성전자 통합 연구조직인 삼성리서치 소장(사장)에 내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승 소장은 한국을 포함, 13개 국가에 위치한 글로벌 15개 연구개발(R&D) 센터와 7개 AI센터의 미래 신기술· 융복합 기술 연구를 관장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AI 분야 최고 전문가인 승현준 교수를 삼성리서치 소장으로 선임함으로써, 미래의 핵심 성장 동력인 AI 기술력을 강화하고 관련 사업과 전략을 고도화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승 소장이 그동안 학계에서 쌓은 경험과 뛰어난 연구 능력, 폭넓은 연구기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선진 연구자들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할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하고 있다. 또 우수 인재 영입을 통한 미래기술 연구 역량을 증진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한 승 소장은 뇌 기반의 AI 연구를 개척한 세계적 석학으로 평가 받는다.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박사후연구원, 벨랩(Bell Labs) 연구원, MIT 뇌인지과학과·물리학과 교수를 거쳐 지난 2014년부터 프린스턴대학교 뇌과학연구소·컴퓨터공학과 교수로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해 왔다. 2008년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이력도 있다.
지난 2018년부터는 삼성리서치 CRS(최고연구과학자)로서 삼성전자 AI 전략 수립과 선행 연구에 대한 자문을 통해 글로벌 AI센터 설립과 AI 우수인력 영입에 기여해 왔다.
승 소장은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달 대국민 기자회견에서 '뉴 삼성 비전'을 발표하며 회사의 미래를 위해 외부의 유능한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겠다는 뜻을 밝힌 이후 이뤄진 첫 영입 사례이다.
이 부회장은 당시 "전문성과 통찰력을 갖춘 최고 수준의 경영만이 생존을 담보할 수 있다"며 "삼성은 앞으로도 성별과 학벌 나아가 국적을 불문하고 훌륭한 인재를 모셔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의 이 같은 발표 이후 삼성은 발 빠르게 AI 핵심인재 확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삼성 관계자는 "삼성의 핵심 미래 사업인 AI에 대한 연구 역량과 더불어 AI 구현에 핵심적인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제고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