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빅데이터 활용 기본계획 추진

부산·울산·경남 |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23일 오후 도청에서 '빅데이터 활용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newspim photo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23일 도청에서 열린 빅데이터 활용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사진=경남도] 2020.10.23 news2349@newspim.com

지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확진자 관리와 소상공인 지원에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등 데이터 없이 효과적인 정책이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한 바 있다.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데이터 행정으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빅데이터 활용 기본계획'을 추진하게 됐다.

지난 5월부터 시작한 이번 용역은 수정·보완 등 충분한 검토를 거쳐 11월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중간보고회에는 김경수 경남도지사를 비롯해 경남연구원, 경남테크노파크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용역업체의 그간 추진사항 발표와 참석자들의 질의와 답변 순으로 진행됐다.

용역의 주요 내용은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기본계획 △빅데이터 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전략 △빅데이터 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빅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및 활용방안 등이다.

추진사항 보고에 따르면 행정, 산업(일자리), 인력양성 등 크게 3개 분야로 나눠 계획을 수립 중이다. 행정분야에는 데이터 행정을 위한 필수 선행절차와 추진체계, 정책과제가 담겼다. 산업과 인력양성 분야에는 빅데이터 센터를 중심으로 한 기업지원, 기업과 도민의 데이터 활용 방안, 전문교육 운영 계획 등이 포함됐다.

보고 후 참석자들은 빅데이터 센터 구축, 빅데이터 활용 정책과제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정책을 근거 없이, 통계 없이 추진하면 제대로 가는지 알 수가 없다. 빅데이터는 나침판 같은 역할이다"면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용역이 잘 완성돼 경남에 빅데이터 행정, 행정 자체의 데이터화, 데이터와 AI가 결합된 스마트 행정이 앞당겨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부산, 울산과 함께 동남권 단위의 빅데이터 행정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