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통일부는 10일 북한이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 후에도 침묵을 이어가고 있는 것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승복 연설을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단정할 수는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조 바이든 후보가 미국 대선에서 사실상 당선 확정이 됐음에도 현재까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당국자는 "미 대선 결과에 대한 승복 연설이 없어서인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일부 나라도 있어 관련 추이를 보며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승복 선언이 나온 뒤 북한의 반응이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 "침묵하는 이유를 중국이나 러시아 등 주변국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분석해 나가야 할 것 같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지 3일 째에 접어들도록 바이든 후보의 당선과 관련된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은 물론 우리민족끼리 등 선전매체 역시 아직까지 관련 사실을 보도하지 않은 채 당 차원에서 몰두하고 있는 '80일 전투'를 선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당국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12년의 경우 공화당 대선 후보였던 밋 롬니의 패배선언 이후 3일 뒤인 10일 노동신문을 통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사실만 단신 보도했다.
2016년 대선에서는 11월 9일 힐러리 클린턴의 패배 인정 후 바로 다음날인 11월 10일 노동신문을 통해 오바마의 전략적 인내 정책의 실패를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북한이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승복 선언이 나온 뒤에야 북한이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