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앞 둔 파주 1.1% ↑...매매·전셋값 상승세 저평가 중심 전국 확산

부동산 |
유동성 확대·전세수급 불안에 매수세 증가
전국 매매가격 0.29% 상승...전셋값은 0.30%↑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비규제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번지면서 서울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보다 더 올랐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곳과 중저가 단지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전셋값 오름세도 더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이 17일 발표한 '12월 2주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0.29% 올랐다. 지난주(0.27%)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도 0.04% 올라 지난주(0.0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유동성 확대, 입주물량 감소와 전세수급 불안 등으로 매수세 소폭 증가했다"면서 "주요 단지나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곳,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newspim photo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한국부동산원]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선 인기 단지와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송파구(0.08%)는 잠실·신천·방이동 인기단지, 서초구(0.03%)는 신고가를 기록한 반포동 신축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강남구(0.05%)는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 있는 지역, 강동구(0.06%)는 암사·명일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올랐다.

관악구(0.05%)는 봉천·신림동 9억 이하 단지, 강서구(0.04%)는 직주근접 수요가 있는 마곡·방화·화곡동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강북 지역은 광진구(0.06%)가 학군·교통이 양호한 광장·구의동, 마포구(0.05%)는 아현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노원구(0.04%)는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상계동, 종로구(0.04%)는 제기·휘경동 구축 위주로 올랐다.

인천(0.15%)은 지난주(0.15%)와 같은 상승폭을 보였다. 남동구(0.23%)는 간석·구월·논현동 역세권 인근 대단지, 미추홀구(0.22%)는 교통이 좋은 도화·용현동 중심으로 상승 흐름을 보였다. 부평구(0.19%)는 주거환경 개선 기대가 있는 갈산·삼산동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0.30%)에선 파주시(1.11%)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와 3호선 연장 기대가 있는 운정신도시 인근 지역 위주로 올랐다. 고양시(0.88%)는 교통호재 영향이 있는 덕양·일산서·동구 지역, 성남 분당구(0.47%)는 수내·서현·야탑동 구축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미동에서 상승 흐름을 보였다. 광주시(0.45%)는 곤지암·초월읍 등 중저가 단지, 남양주시(0.38%)는 교통 접근성이 좋은 다산동과 화도읍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세종시(0.21%)는 고운·새롬동 등 행복도시의 주요단지와 상대적으로 가격수준이 낮은 조치원읍 위주로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 대비 소폭 줄어들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30% 올라 지난주(0.29%)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 전셋값은 0.14%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폭을 보였다. 수급불균형이 지속되면서 강북권 중저가 단지는 상승폭이 커졌으나 단기 급등한 강남권 고가 전세는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강남4구에서는 송파구(0.22%)가 가락동 구축과 풍납·거여동 중저가 단지, 서초구(0.20%)는 반포·잠원동 인기단지 및 방배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강남구(0.19%)는 압구정동 구축 및 자곡동, 강동구(0.21%)는 강일·고덕동 위주로 상승했다.

동작구(0.19%)는 상도·동작동 대단지, 관악구(0.14%)는 신림·봉천동, 영등포구(0.13%)는 영등포·문래·신길동 역세권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강북 지역에서는 마포구(0.20%)가 직주근접 수요가 있는 창전·신공덕동 역세권, 용산구(0.19%)는 이촌·서빙고동 구축 위주로 올랐다. 은평구(0.15%)는 진광동 등 은평뉴타운 신축, 광진구(0.13%)는 학군이 좋은 광장·자양동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했다. 

krawjp@newspim.com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