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기반 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지난해 학생들의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에 대한 직업 선호도 순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1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6월 1일부터 7월 13일까지 초·중·고교생 2만3367명과 학부모 1만5257명, 교원 28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됐다.
전년도 희망직업에 대한 조사 결과가 전반적으로 비슷한 유사한 추세를 보인 가운데 희망직업 1~3위는 운동선수, 의사, 교사 등이 차지했다.
우선 초등학생의 희망직업은 운동선수(8.5%)가 3년째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의사(6.7%), 3위는 교사(6.7%)가 각각 차지했다. 유튜버, BJ, 스트리머와 같은 크리에이터는 초등학생(6.1%)이 4번째 희망직업으로 꼽았다.
중학생의 희망직업 1위는 교사(9.8%)였고, 2위는 의사(5.9%), 3위 경찰관·수사관(4.3%)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고등학생 희망직업 1순위는 교사(8.7%)가, 2위는 간호사(5.3%)가, 3위는 군인(3.5%)이 각각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코딩 프로그래머, 가상(증강)현실전문가 등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의 희망직업 순위가 전년도보다 크게 상승했다는 점이다. 코로나19로 온라인 기반 산업이 크게 성장한 점이 희망직업 순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학생의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의 희망직업 순위는 전년도 11위에서 지난해 8위로, 고등학생은 전년도 7위에서 지난해 4위로 상승했다.
한편 희망 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중학생이 63.2%, 고등학생이 76.3%로 나타났다. 희망 직업이 없는 학생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내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몰라서' 등과 같이 직업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흥미와 적성, 희망직업 등 진로에 관한 대화를 부모와 가장 많이 하는 학생은 중학생이 20.4%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생이 18.7%, 초등학생이 17.9%로 각각 조사됐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로교육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교과 이수 경로와 연계해 학생들의 적성에 맞는 다양한 체험활동 중심의 진로탐색 및 설계 활동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