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세종시와 충청북도에서 간선급행버스(BRT) 전용 자율주행버스가 국내 처음으로 운행한다.
국토교통부는 오송역과 세종시외버스터미널 간 22.4km를 오가는 'BRT 전용 자율주행버스"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후 12시부터 4시까지 왕복 6회 운행한다고 27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2021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초광역협력사업으로 선정된 '충청권 자율주행 모빌리티 상용화 지구 조성사업'의 일환이다. A2, A3의 노선번호를 부여받아 기존 일반 시내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의 한 축을 담당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작년 11월 세종·충북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를 변경 지정했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자율차가 BRT 구간에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했다. 세종시와 충북도는 사업자로 오토노머스A2Z를 지난 8월 선정한 후 자율주행 분야 전문가 등의 자문과 안전점검을 3개월여 간 시행했다.
이번에 운행되는 자율주행버스는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기술이 적용된 전기버스(14인승 아폴로750, 1대)와 일반승합버스(15인승 레스타, 2대)다. 안전운행을 위해 운전원과 안전요원이 동승하여 승하차 지원, 자율주행 안내, 응급상황 신속대응 등 안전한 공공서비스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종시·충북도 누리집, BRT 정류장 포스터에 있는 QR코드를 통해 사전 체험신청을 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3개월 정도 시범운행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 시민체험단의 의견 등을 반영한 후 본격적인 유상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요금은 시내버스 수준으로 책정된다.
어명소 국토부 제2차관은 "국내 최초로 간선도로에 자율주행버스가 도입된 사례로 내년에는 대전 반석역, 2024년 이후에는 청주공항, 조치원, 공주, 천안·아산 등 충청권 주요지역으로 확대가 예정돼 있다"며 "더 많은 일반국민이 자율주행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범운행지구 확대는 물론 지자체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