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태성 기자 =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9일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국제공동 R&D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외부와 협업하거나 기술을 공유하는 형태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추진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
K-글로벌 클러스터 2023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중소·벤처기업이 국내 규제와 제한적인 연구 인프라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방형 혁신 전략인 글로벌 R&D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조 강연에 나선 구글 파트리샤 플로리시 CTO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분야에 대한 구글의 글로벌 협력 전략을 발표했다.
플로리시 CTO는 "기술이 복잡해지면서 국제 공동 R&D는 거스를 수 없는 추세가 됐다"며 "기업들이 글로벌 기술 협력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전했다.
KIAT 이범진 규제자유특구실장은 "중소 제조기업의 기술개발 성공률과 해외 협력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진단하며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밸류체인(GVC) 참여와 미래 신기술 선점을 위해 신속한(Fast-Track) 해외실증 R&D 등 새로운 방식의 국제공동 R&D 전략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좌장으로 참석한 한국뉴욕대 이종일 교수는 "심화하는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하려면 국제공동 R&D를 프로그램형으로 추진하여 전방위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서울로보틱스 김두곤 이사는 "KIAT의 국제공동 R&D 덕분에 스타트업임에도 불구하고 BMW의 협력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지정됐고, 독일 현지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며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국제공동 R&D는 중요한 열쇠라고 전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개방형 연구개발이 중요해지는 만큼 중소·벤처기업이 국제공동 R&D를 발판으로 첨단 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victor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