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2024.01.31 oks34@newspim.com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해가 질 무렵은 모든 것의 경계에 있다. 황혼과 석양이 물들고, 땅거미가 지면서 어스름 저녁이 찾아온다. 순식간에 빛과 어둠으로 나뉜다. 지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해가 뜰 때보다 해가 질 때 더 감상적이 된다. 태어남보다는 죽음에 가까운 시간이다.
'어렸을 적 낮잠 자다 일어나 아침인 줄 알고/ 학교까지 갔다가 돌아올 때와/ 똑같은, 별나도 노란빛을 발하는 하오 5시의 여름 햇살이/ 아파트 단지 측면 벽을 조명할 때 단지 전체가 피안 같다/… / 어디선가 웬 수탉이 울고, 여름 햇살에 떠밀리며 하교한 초등학생들이/ 문방구점 앞에서 방망이로 두더지들을 마구 패대고 있다.' - 황지우 시인 '아주 가까운 피안' 일부.
누구나 한 번쯤 짓궂은 부모님이나 형, 누이에게 속아서 낮잠을 자다가 일어나 허겁지겁 학교에 간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침인지 저녁인지 분간할 수 없는 낮과 밤의 경계 어디쯤에 있는 '해질 무렵'은 그래서 아름다운 시간이다. 어린 시절 즐겨보던 다큐멘터리 '동물의 왕국'에서 해가 지는 아프리카 초원을 가로지르는 기린이나 사자, 코끼리의 모습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그 동물들보다도 이글이글 타던 태양이 아프리카 초원을 달구며 서쪽으로 넘어가는 웅장한 석양의 풍경 때문에 더 오래 기억에 남아있다.
'누군가 삶을 마감하는가 보다/ 하늘에는 붉은 꽃이 가득하다// 열심히 살다가/ 마지막을 불태우는 목숨/ 흰 날개의 천사가/ 손잡고 올라가는 영혼이 있나 보다// 유난히 찬란한 노을이다' - 서정윤 '노을' 전문
해가 지는 저녁, 서쪽 하늘을 물들이는 노을은 우리를 황홀하게 만든다. 매일 모습을 달리하는 황혼은 마치 인간에게 주는 슬픈 선물 같다. 이승철이 영화 '청연'의 주제곡으로 처음 부른 뒤 Mnet의 '슈퍼스타K'에서 울랄라세션이 불러 유명해진 '서쪽 하늘'은 노을과 잘 어울린다.
'서쪽 하늘로 노을은 지고/ 이젠 슬픔이 돼버린 그대를/ 다시 부를 수 없을 것 같아/ 또 한 번 불러 보네/ 소리쳐 불러도 늘 허공에/ 부서져 돌아오는 너의 이름/ 이젠 더 견딜힘조차 없게/ 날 버려두고 가지.'
그러나 이 노래와 연관됐던 연예인들 중에서 세상을 달리한 사람이 많다. 영화의 주인공이었던 장진영과 김주혁이 차례로 세상을 떠났고, 환상적인 편곡을 선보였던 울랄라세션의 리더 임윤택도 저 세상 사람이 됐다.
'난 너를 사랑하네/ 이 세상은 너뿐이야/ 소리쳐 부르지만/ 저 대답 없는/ 노을만 붉게 타는데'로 친숙한 이문세의 '붉은 노을'은 고 이영훈이 만든 곡이다. 그도 이 세상에 없지만 그가 만든 붉은 노을은 오늘도 서쪽 하늘을 물들인다. 윤도현밴드나 빅뱅 등 수많은 가수가 리메이크하면서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해질 무렵 차를 몰고 한강을 건너다가 지는 노을에 취할 때가 있다. 그럴때면 문득 서해 어디쯤으로 차를 몰아 달려가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우리에게 서해는 일몰(日沒)의 바다다. 붉은 낙조와 밤의 고요, 끝없는 갯벌의 바다다. 하여, 한 해가 저물 때면 동해보다 서해가 먼저 떠오른다. 정태춘은 서해의 속살을 가장 잘 아는 가수다.
'서해 먼 바다 위론 노을이 비단결처럼 고운데/ 나 떠나가는 배의 물결은 멀리멀리 퍼져간다/ 꿈을 꾸는 저녁 바다에 갈매기 날아가고/ 섬마을 아이들의 웃음소리는 물결 따라 멀어져 간다.' -'서해에서' 일부.
정태춘에게 고향 평택에서 가까운 서해는 특별했다. 재수생활을 접고 인천 부근 해안가에서 군 복무할 때 쓴 곡이다. 고래를 잡으러 떠나던 송창식의 바다도, 영일만 친구가 있는 최백호의 바다도 아니었다. 그에게 서해는 간척지를 밑천 삼아 농사를 짓던 고향 사람들의 땀과 눈물이 배어있는 삶의 터전이었다.
해질 무렵은 늘 찰나의 시간이다. 붉은 석양이 온 하늘을 물들이는 순간은 우리 인생의 행복했던 한때처럼 짧고 강렬하다. 그 찰나를 붙들어 둘 재주를 가진 사람은 아무도 없다. 마음속에 꼭 담아두었다가 한 번씩 펼쳐볼 일이다. 조용필의 '서울 서울 서울'을 배경으로 깔아도 좋다. '해질 무렵 거리에 나가 차를 마시면/ 내 가슴에 아름다운 냇물이 흐르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