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염'에 8월 전기요금 평균 7500원 증가…13% 늘었다

산업 |
8월 가구당 평균 전력사용량 363kWh…9% 늘어
전체 가구 76% 전기료 올라…평균 1만7000원↑
전체 가구 24%는 전기료 같거나 오히려 감소해
미국·프랑스·일본 등 주요국 전기료 한국 2~3배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역대급 폭염이 이어졌던 지난달에 냉방기 사용 등 전력 사용량이 전년보다 늘어나면서 평균 전기요금이 7500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전기요금이 증가한 가구는 전체 중 76%에 달했다. 이들 가구에서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전기요금이 평균 1만7000원 증가했다.

◆ 전년보다 요금 증가한 가구 76%…평균 증가액 1만7000원 수준

9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용 가구당 평균 사용량은 363키로와트시(kWh)로 지난해 8월(333kWh)과 비교해 30kW(9%) 증가했다.

전력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지불해야 하는 요금도 늘어났다. 지난달 전기요금은 6만3610원으로 전년 같은 달(5만6090원)보다 7520원(13%) 증가했다(그래프 참고).

지난해 8월과 비교해 전기요금이 증가한 가구는 전체 2522만호 중 76%에 해당하는 1922만호로 집계됐다. 이들 가구에서는 전기요금이 평균 1만7000원 증가했다.

전기요금이 증가한 1922만호 중 39%에 해당하는 973만호는 1만원 아래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이밖에 ▲1~3만원 710만호(28%) ▲3~5만원 126만호(5%%) ▲5~10만원 75만호(3%) ▲10만원 이상 38만호(1%)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요금이 동일한 가구는 전체 2522만호 중 1%에 해당하는 31만호로 확인됐다. 569만호(23%)에서는 오히려 지난해보다 요금이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한전은 "전기요금이 증가한 가구에 한정해 평균 증가액은 약 1만7000원 수준"이라며 "역대급 무더위 속에서도 전기 절약을 실천한 국민들의 노력으로 전기요금 증가가 우려했던 수준보다는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 한국 전기료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독일 3배·일본 2배 비싸

전기요금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확연한 오름세를 보였지만, 8월 주택용 가구당 평균 사용량(363kWh)을 기준으로 국가 간 실제 납부 요금 비교할 경우 한국은 여전히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이 8월 평균 사용량 기준으로 한국을 비롯한 7개국의 전기요금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한국·홍콩을 제외한 5개국이 모두 10만원대에 머물렀다.

newspim photo

독일의 전기요금은 18만3717원으로 한국의 약 2.8배에 달했다. 미국(15만9166원)과 프랑스(14만8057원), 일본(13만5625원) 등도 2배를 웃돌았다. 한국과 가장 차이가 근소한 호주는 8만원대의 요금으로 약 1.3배 높았다.

한전은 전기요금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취약계층의 여름철 복지할인 한도를 최대 2만원까지 확대하고, 지난해 1월과 5월의 요금 인상분 21.1원 적용을 유예해 연간 1조원 규모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한전의 복지할인과 에너지바우처를 동시에 제공 받는 기초생활수급자 약 130만호 중 약 31만3000가구는 전기요금 전액을 지원받고 있다. 약 22만5000가구는 1만원 미만의 전기요금을 내고 있다.

한전은 고객들의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분할 납부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분할 납부는 주택용 고객 중 7~9월 요금이 6월 청구액보다 2배 이상 증가하거나 월 요금이 10만원 이상일 경우 당월 전기요금의 50%를 최대 6개월까지 분할해 납부할 수 있는 제도다.

아울러 사용량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전기사용량 조회 서비스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소비자들이 즉시 전기 사용량을 인지해 요금 절약을 유도하는 기능으로, '한전ON' 또는 아파트 월패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ang@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