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디지털 플랫폼으로 기록물 서비스 강화

사회 |
이관 업무 간소화…전자 기록물 검색 시간 단축
중앙부처 기록물 활용성 증대 기대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기록물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개통한다고 25일 밝혔다. 클라우드(Cloud) 기술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저장 공간 등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에 개통하는 '플랫폼'은 기존의 기록 관리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술 기반으로 전면 개선해 검색 기능을 보다 강화하고 기록물을 빠짐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정부세종청사 종합 민원실 입구=김보영 기자2024.10.25 kboyu@newspim.com

그간 국가 기록물은 통합된 검색 방법이 없어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기록물을 실제 활용하기 어렵고 전년도 생산 기록물의 이관 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됐다.

하지만 앞으로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플랫폼'을 활용해 과거에 생산된 기록물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고 전자 기록물 이관 업무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을 이용하면 '통합 검색' 기능으로 과거 전자 기록물의 본문뿐만 아니라 붙임 파일까지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과거에 비해 검색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전자 기록물의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전자 기록물 관리 단계 간소화'로 기록물 관리 업무 처리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생산→단기 관리' 단계의 이관 업무에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 복제 등 반복적이고 장시간이 소요되던 업무를 단순화해 업무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용철 국가 기록원장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 기조에 맞춰 국가 기록 관리 시스템을 플랫폼 체제로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심화 시대에 걸맞도록 기록물 서비스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