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환경부가 부산 연산동과 경기 파주 야당동 등 상습침수지역을 올해 신규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29일 환경부에 따르면 '2024년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16곳은 30일 공고된다.
올해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은 21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30곳에 대해 지정 신청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서류검토 및 현장조사를 거치고 선정위원회에서 침수피해 정도와 시급성 등을 종합 고려해 최종 16곳을 선정했다.
올해 지정된 중점관리지역 16곳에는 앞으로 총 8300억원가량 투입돼 하수관로 56㎞ 개량, 펌프장 15개 신·증설, 빗물받이 설치 등 하수도시설 확충 사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내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의 도시침수 대응 예산 규모는 3138억원(정부안)으로, 2022년 예산 897억원의 3배 수준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194곳 가운데 하수도 확충사업이 완료된 지역은 55곳이었다. 환경부는 사업 완료 지역에서 침수피해는 재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충북 청주 복대동·비하동·내독동의 경우 저지대에 위치해 상습침수가 일어났으나, 하수도 확충 후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집중강우 시 침수피해가 상습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정하고, 지자체가 침수원인 해소를 위한 하수도 확충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정비사업 비용을 최대 60%까지 국비 지원한다. 광역지방자치단체 국비 보조율은 30%다. 지정부터 사업 완료까지는 5~7년이 소요된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침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매년 10~38곳, 총 194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했다. 하수관경 확대와 하수저류시설·빗물펌프장 설치 등 하수도 확충 사업에 투입된 국고 보조액은 누적 1조7800억원에 달한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집중강우로 인한 도시침수 예방을 위해서는하수도 정비를 통한 원활한 물 빠짐이 중요하다"며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 지정 확대와 지속적인 하수도 확충 사업 추진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강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