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전우정 교수, 한국 법학자 최초 군사 AI통제 과학적 도전 밝혀

경제 |
AI의 군사적 적용, 국제 협력 필요
알고리즘 결함과 오판의 위험성 강조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우정 교수가 군사 AI 통제의 과학적 도전에 관한 기고문을 세계 최고 과학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의 코리스판던스 섹션에 우리나라 법학자 최초로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newspim photo
전우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사진=한국과학기술원] 2024.11.08 biggerthanseoul@newspim.com

군사 AI 거버넌스를 주제로 한 고위급 회의 '2024 인공지능(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회의'가 지난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서울에서 열려, 61개국이 '행동을 위한 청사진'을 채택한 바 있다. 이후 두 국가가 추가로 동참해 현재 총 63개국이 가입하고 있다.

전 교수는 기고문에서 AI를 군사 분야에 적용하는 데 있어 직면하는 어려움을 강조했으며, 이는 국제 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AI가 현대 전쟁에서 육군, 해군, 공군, 우주, 사이버 영역 등 5개 군사 분야를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며,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과 작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면서도 알고리즘 결함이나 오판으로 인한 위험성을 지적했다.

이와 관련 전 교수는 경쟁 상황 속에서 인간의 통제를 보장하고, 핵 무기 시스템에 AI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한 집중 연구와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