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쌀값 9.3% 하락 18만원대 뚝…정부 대책 '진땀'

산업 |
5일 기준 산지 쌀값 18만2700원…전년대비 9.3%↓
작년 11월 이후 쌀값 지속 하락…"정부정책 효과 없어"
농민단체 "수확기 산지 쌀값 안정 위한 특단대책 필요"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산지 쌀값이 내림세를 지속하면서 정부가 공언한 수확기 산지 쌀값(80kg) 20만원선이 무너지고 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전국의 산지 쌀값은 20㎏당 4만5675원으로 1년 전보다 9.3%(4671원) 떨어졌다.

한 가마니(80kg) 기준으로는 18만2700원으로 정부가 공언한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 20만원에 못 미친다.

newspim photo

산지 쌀값은 전국 RPC(미곡 종합 처리장)에서 쌀을 도정해 판매하는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정부는 국민의 쌀 소비 감소로 쌀값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자 지난해 수확기 산지 쌀값이 20만원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을 구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작년도 수확기 산지 쌀값은 20만2798원으로 20만원선을 넘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서 산지 쌀값이 점차 하락하더니 18만원대로 떨어졌다.

실제로 매월 5일 기준 한 가마니당 산지 쌀값은 지난해 11월 20만1384원에서 같은 해 12월 19만8468원으로 20만원이 무너진 후 올해 6월 18만7872원까지 내려갔다.

이후 지난 8월에는 17만8476원까지 지속 하락해오다 지난 10월에야 겨우 18만8156원으로 18만원대까지 올라왔다.

일각에서는 쌀값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가격 안정화 정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

newspim photo
장흥 친환경 벼 생산단지 [사진=전남도] 2024.10.17 ej7648@newspim.com

정부는 올해 쌀값 안정화를 위해 2024년산 쌀 예상 총과 생산량 12만8000톤보다 많은 20만톤을 시장에서 격리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2024년산 쌀 40만톤과 2023년산 쌀 5만톤 등 총 45만톤을 공공비축 매입물량하기로 했다.

이와 같은 조치에도 산지 쌀값 회복이 더디자 농민단체는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관계자는 "그동안의 대책 발표로 정부의 쌀값 상향 의지가 전달됐지만 쌀값과 벼 수매가 상승이라는 효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며 "또 다른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올해 수학기에는 정부와 농협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전국 농업현장의 벼 수매가를 인상시키고, 쌀값 안정을 위한 특단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plum@newspim.com

관련기사

베스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