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이 38.1일에서 7일로 81.6% 감소했으나,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일로 31.1일 줄었다. 81.6%가 감소한 셈이다.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로 27.3% 감소했다.
건보공단은 이어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입원 기간 차이 비중을 분석했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에 따라 입원 기간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를 말한다.
분석 결과, 고혈압은 2010년 25.7%에서 2019년 31.3%로 증가했다. 반면 폐렴은 2010년 21%에서 2019년 9.6%로 감소했다.
건보공단은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의원)로 구분했다. 그 결과, 병원급 이하에서 어느 의료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더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입원 기간의 의료기관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로 집계됐으나 병원급 이하는 51.8%로 나타났다. 폐렴은 각각 6.5%, 26%로 집계됐다.
건보공단은 이에 대해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한다"며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 기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혈압과 폐렴의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