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세계 전자업계 이합집산…삼성·LG 고립되나

기사등록 : 2011-08-19 11:2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애플 등 M&A, 지분투자로 힘 키워

[뉴스핌=박영국 기자] 전자제품과 부품 등 각 분야에서 세계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국내 전자기업들이 해외 경쟁사들의 이합집산과 견제로 고립 위기에 처했다.

해외 경쟁사들이 동종기업간 M&A를 통해 덩치를 키우거나, 상·하류업계간 지분투자 등을 통해 '혈맹'을 맺고 있는 반면, 삼성과 LG, 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은 자체 경쟁력만으로 이들과 맞서야 하는 상황.

◆ 애플, 삼성-LG 대항마 키운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애플의 움직임이다.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LCD 패널의 상당 부분을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에 의존해 왔던 애플은 지난해 말 일본 도시바 LCD 공장에 12억달러를 투자한 데 이어, 샤프에도 10억달러를 투자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하드웨어의 대부분을 아웃소싱에 의존하는 애플 입장에서 특정 부품기업의 시장지배력 확대는 썩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다. 더구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이 눌러야 할 경쟁사이기도 하다.

쇠락하고 있는 일본 LCD기업들을 다시 일으켜 세워 삼성과 LG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선을 다양화하겠다는 의도가 명백하다.

◆ 치킨게임 패자, 뭉쳐서 힘 키운다

부품기업간 횡(橫)적 통합도 삼성과 LG에게는 위협이다. 일본 도시바와 소니는 민관 펀드인 산업혁신기구로부터 투자를 받아 중소형 LCD 패널을 생산하는 통합회사를 연내 설립하기로 했다.

이 시장에서 도시바는 지난해 매출 기준 9.2%, 소니는 6.1%를 점유하고 있으며, 통합할 경우 15.3%의 점유율로 샤프(14.8%)와 삼성전자(11.9%), CMI(11.7%)를 제치고 1위가 된다.

일본 샤프와 대만 CMI도 LCD 패널 사업 합병을 추진한다. 중소형과 대형을 포함한 전체 LCD 시장에서 CMI의 점유율은 올 1분기 매출 기준 15.7%, 샤프는 7.6%로, 통합 이후 점유율은 23.3%에 달한다. 이는 삼성전자(대형)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중소형)의 합산 점유율인 26%와, LG디스플레이의 23.8%에 육박하는 규모다.

샤프와 CMI의 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이 커질 경우 조달 규모도 확대돼 부품 제조사들에 대한 가격 협상력이 높아져 삼성전자나 LG디스플레이와의 경쟁에서 열세를 만회할 수 있다는 전망 하에 이번 합병이 추진됐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반도체 업계에서도 이합집산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대만 파워칩과 프로모스, 렉스칩은 일본 엘피다와 통합을 모색하고 있으며, 난야 역시 자회사 이노테라 지분을 미국 마이크론에 매각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대만 기업들이 엘피다 및 난야를 중심으로 통폐합돼, 삼성전자, 하이닉스와 함께 4강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치킨게임에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밀려 존폐 기로에 놓인 해외 기업들의 불가피한 선택이라지만, 해외 기업들이 통합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나노공정 기술까지 추격해 온다면 국내 기업들에게도 큰 위협이 될 전망이다.

◆ 스마트폰 시장 OS 중심 재편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지배하는 큰 그림이 그려지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에 안드로이드 OS를 공급하던 구글이 스마트폰 제조사 모토로라를 집어삼켰고, 또 다른 OS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노키아 인수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를 통해 iOS, 안드로이드, 윈도폰7 등 OS를 중심으로 한 애플, 구글-모토로라, MS-노키아의 3강 체제 구축이 점쳐지고 있다.

애플과 스마트폰 1,2위를 다투고 있는 삼성전자조차도 이들 3강에 함께 언급되지는 못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입지를 굳혔다지만, 모토로라가 '적자(嫡子)'가 된 이상 삼성은 '서자(庶子)'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고, 윈도폰7으로 노선을 바꾼다 해도 MS가 노키아를 인수할 경우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독자OS '바다'는 삼성전자 내에서도 안드로이드에 비해 비중이 낮은 형편으로 아직 세계적인 OS들과 겨루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 국내 기업, M&A 시장서 얻을 게 없다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 삼성이나 LG는 전자업계 M&A 시장에서 딱히 얻을 게 없다는 게 더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가전이나 휴대폰 등 제품뿐 아니라 LCD를 비롯한 부품 분야까지 직접 사업부문에 포함하고 있거나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어 해외 기업에 대한 M&A나 지분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를 찾기 힘든 것.

그동안 M&A 대상이 됐거나 매물로 언급됐던 모토로라나 노키아, 산요 등은 삼성전자 및 LG전자의 휴대폰·가전사업과 영역이 겹쳐 인수해 봤자 사업 규모를 키우는 것 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 오히려 조직 규모만 불필요하게 비대해지는 일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할 이유가 없다.

국내 기업들에게 가장 절실한 분야는 소프트웨어지만, 의미 있는 규모와 기술력을 가진 소프트웨어 기업을 인수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국내 전자업계 관계자는 "세계 소프트웨어 업계는 극단적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어중간한 규모의 기업을 인수해 봤자 별 도움도 되지 않고, 구글이나 MS 같은 메이저는 오히려 하드웨어 업체들을 집어삼킬 정도로 덩치가 큰 만큼 국내 기업들이 M&A를 통해 단번에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높이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박영국 기자 (24pyk@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