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송협 기자] 카다피 사망 이후 리비아 정국이 점차 안정세를 되찾고 있는 가운데 리비아 과도정부(NTC)의 국가 재건사업 움직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42년간 독재 체제를 이어왔던 카다피 정권이 붕괴되면서 사실상 새정부 출범 수순을 밟고 있는 리비아 과도정부는 내전 당시 파손된 사회 기반시설 복구를 위해 프랑스, 영국을 비롯해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재건사업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전국토의 5분의 1 이상이 파손되면서 기능을 상실한 리비아 사회 기반시설은 카다피 정부 축출 이후 리비아 과도정부의 최우선 과제인만큼 혼탁한 정국으로 흩어진 민심과 정국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때문에 리비아 과도정부는 재건사업 규모만 1200억달러(한화 약 136조원)에 달하는 재원을 내세워 내전 후 복구사업을 위해 해외업체들의 적극적인 진출을 희망하고 있다.
실제 리비아 과도정부는 내전이 막바지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카다피 붕괴 이후 국가 재건을 위해 국내 기업들과 한국정부에 지속적으로 진출 의향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내전으로 폐허가 된 리비아 사회 기반시설 복구를 위해 국내 기업들의 진출 가능성도 발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카다피 정부시절부터 리비아 내 항만, 플랜트 사업 등을 통해 자리매김한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은 내전 종식과 재건사업에 따른 막대한 수익을 기대되는 리비아 진출을 겨냥한 TFT(테스크 포스)를 구성하고 사전 시장조사 및 참여방안 등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국토해양부를 비롯한 KOTRA 등 정부 역시 리비아 전후 복구사업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민간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나섰다.
지난 25일 정부는 리비아 재건사업을 위해 건설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전후 복구사업 참여 방안과 입국무제 등을 논의한데 이어 외교통상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3개부처가 공동으로 리비아 재건사업을 위한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 카다피 정권 붕괴됐지만...정국불안 심화
1200억달러 규모의 이른바 '빅 머니' 수주를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들의 리비아 진출을 위한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지만 카다피 정부가 붕괴됐다고 해서 섣부른 진출은 자칫 리스크로 작용될 수 있다는 지적도 팽배하다.
리비아 현지 상황을 지켜보는 전문가들은 카다피의 몰락으로 과도정부 주도의 국가재건이 완전히 수습되기까지는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문제점과 전통적 다부족 체제인 리비아의 현실을 감안할 때 카다피 사망에 따른 親카다피 부족의 테러 가능성 역시 배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리비아를 제외하더라도 정국이 불안정한 중동지역이나 남미지역과 같이 내전과 쿠데타가 심화되는 국가의 경우 사업 계약을 정상적으로 체결했다 하더라도 정국 변화에 따른 악재가 많아 막대한 손실을 보고 돌아오는 업체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자사의 기본적인 해외사업 진출 기준은 정국 불안과 위험요소가 많은 중동지역, 남미지역 등의 진출을 피하고 있다"면서"워낙 변수가 많고 치안이 불안전한 나라다 보니 이익을 위해 진출했다가 오히려 낭패만 보는 사례가 많다"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과도정부 주도의 리비아 정국 역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카다피 정부가 붕괴된 현재 과도정부는 임시정부를 통해 새정부 출범을 서두르고 있지만 부족간 분쟁의 점화가 쉽사리 제어될지 의문이다.
◆ 민간업체 死地로 등떠미는 한심한 정부
리비아 과도정부가 1200억 달러 규모의 사업비를 내걸고 해외 기업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나섰지만 내전의 상흔이 채 가지시않은 혼탁한 리비아 정국을 지켜보는 기업들은 선 뜻 나서기를 꺼리고 있다.
현재 리비아 진출을 꾀하고 있는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영국 등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리비아 현지 불안한 치안상태와 불안정한 정국에 따른 부담감으로 시장상황만 엿볼 뿐 나서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현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민간업체들을 대상으로 재건사업 간담회를 개최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시장 전문가는 "정부가 리비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서 민간업체들을 내몰고 있다"면서"전후 불안정한 정국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예상되고 있고 여기에 치안마저 불안한 리비아에 민간업체들의 진출을 요구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리비아 현지에 진출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카다피 정권 붕괴 이전부터 진행중인 사업 보수를 위해 최소의 인력을 파견하기는 했지만 실제 재건사업에 참여할 지는 미지수"라며"아무래도 내전 이후 불안정한 리비아 정국을 감안할 때 아무리 공사비를 많이 주더라도 위험부담을 안고 나서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송협 기자 (back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