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글로벌FX 어디로 ③] 위안화 국제화, 멕시코페소 인기

기사등록 : 2012-10-17 16:4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전 세계 외환시장 거래가 침잠하고 있지만, 여전히 고수익통화를 찾는 '와타나베 부인'의 발걸음은 바쁘다. 외환시장은 점차 선진국통화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다극화되고 있고, 이 같은 현상은 글로벌 머니의 움직임을 반영한다. 온라인 종합경제미디어 뉴스핌은 파이낸셜타임스 특집의 소개를 통해 최근 주요 외환시장의 추세와 특징을 점검해본다. <편집자 註>

[뉴스핌=이은지 권지언 김사헌 기자] 지난 8월 중국과 대만이 위안화와 대만 달러로 직접 무역 결제를 할 수 있도록 무역결제 협약을 제결한 것에 대해 위안화 국제화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앞서 7월에는 중국 정부가 싱가포르 은행 중 한곳을 위안화 결제은행으로 허가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며 싱가포르가 영국과의 위안화 해외 거래 센터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두 가지 사례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위안화 국제화와 무역거래에서 위안화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주요 행보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월에도 중국 비 금융 회사들이 딤섬 본드를 발행하도록 허용하는 등 자본 시장에서 위안화 사용을 확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재무부 역시 지난 7월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하며 이에 동참했다.

◆ 위안화의 국제화 '역외허브'가 관건

홍콩은 주요 역외 센터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홍콩은 중국에 대한 해외 투자액의 60% 이상을 담당한다. 영국의 싱크탱크인 체텀하우스는 홍콩에 예치된 런민삐 예금이 지난해 말 기준 5880억 위안을 기록해 지난 2009년의 560억 위안과 비교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런던 역시 아시아 외 지역에서 주요 런민삐 거래 센터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이는 유럽이 중국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 유럽일 뿐만 아니라 유럽의 부유층들이 더 많은 위안화 투자를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체텀하우스는 어떻게 런던과 다른 금융 센터들이 해외 인민폐 시장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런던시장의 발전이 홍콩에 의존할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중국의 위안화 유동성 공급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런던 시장에서 유로달러화 시장이 발전한 예를 참고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미국의 사법권과 제제 밖에서 확대된 유로달러화 시장과는 달리 위안화 해외 시장은 위안화의 제한적인태환성에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런던은 이미 중국과 홍콩을 제외하고는 글로벌 해외 런민삐 현물시장의 46%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런던의 거래시간대 장점이 해외 거래센터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만과 싱가포르는 중국과의 무역 연계에 보다 의존적일 수 밖에 없다.

홍콩은 예외다. 바클레이스의 분석가는 "어떤 해외 위안화 허브가 나타나건 홍콩과 상호보완 작용할 것"이라며 "역외센터 개발은 위안화 거래를 확대시킬 것이고 위안화 유동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유동성은 홍콩내 위안화 보유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 멕시코 페소 강세 VS. 브라질 레알 약세

눈부신 경제성장과 재정 긴축을 바탕으로 선전해온 남미 통화들은 최근에는 엇갈린 길을 가는 모습이다. 멕시코 페소에 대한 베팅이 늘어나는 반면 브라질 레알화 매입 속도는 둔화되는 추세다.

이 같은 엇갈린 양상은 내년도 양국 성장 전망 차이에서 드러나는데, 내년도 멕시코의 성장률은 브라질을 앞지를 전망이다. 멕시코가 외환시장 개입을 꺼려하는 반면 브라질은 그렇지 않다는 점도 작용했다.

브라질의 경우 각종 투자 규제와 더불어 중국과의 깊은 유대관계 역시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상품 등의 수요를 견인해온 중국이 둔화 조짐을 보이면서 브라질 경제와 레알화에도 적신호가 되고 있는 것.

다만 전문가들은 페소 평가절상과 레알 평가절하의 엇갈림이 지나친 만큼 앞으로 같은 기조가 계속 될 지 의문이라는 시각도 보이고 있다. 페소가 올들어 9% 가까이 절상된 반면 레알은 지난 2011년 7월 이후 20% 넘게 평가절하됐다.

바클레이즈 북미 외환전략 대표인 호세 와인은 "레알화를 완전 경시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브라질의 경제 펀더멘털이 견조하고 멕시코와 미국과의 연대가 '재정절벽'과 같은 미국 내에서의 잠재적 역풍에 따라 휘청일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이은지 권지언 김사헌 기자 (herra79@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