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함지현 기자] 대선패배 후 민주통합당을 수습할 새로운 선장으로 낙점된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에게 주어진 시간은 짧지만 넘어야 할 파고는 높아 보인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사진=최진석 기자]> |
비대위원장의 역할에 대해 당내 의견이 '관리형'으로 가닥을 잡자 박 원내대표는 범친노계열로 분류되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특정계파 색이 옅고 소통에 능하며 참여정부 시절 당청 갈등 조율 등으로 능력을 보인 문 비대위원장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비대위가 '관리형'으로 간다는 것은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잘 치러질 수 있도록 관리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그 과정이 간단치는 않아 보인다.
민주당은 비대위가 전당대회를 준비하면서 통렬한 대선패배의 평가 작업을 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패배의 원인에 대해 당내 주류와 비주류 간 책임 공방전 식의 이견이 불거지며 국민에 피로감을 줄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류는 차기 지도부를 움켜쥘 명분을 차지하기 위해, 비주류는 그런 주류를 막기 위해 대선평가에서 서로를 향한 공세가 오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교적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외부인사로 대선평가위원회를 꾸려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지만 문 비대위원장은 당내 인사 위주로 꾸릴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선평가도 철저하게 하려면 외부인사가 와서 객관적으로 봐야 한다는 얘기가 있지만 사실 당에서 몸으로 느낀 사람도 있다"며 "그 점을 고려해서 구성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당대회 준비 자체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지난 몇 번의 경선에서 "더 많은 국민의 뜻을 반영하자"는 뜻으로 모바일 투표를 반영해왔지만 "당심과 모발심(모바일 민심)이 다르다"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정말 당원들이 원하는 인사보다 인기에 부합한, 혹은 조직적 동원이 가능한 인사가 당선되는 데 따른 지적이다.
이에 대해 문 비대위원장은 "과거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을 한 적이 있고 룰을 만들 때 첨예하게 대립하는 것을 조정한 적이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당의 정체성을 놓고 다 참여해 끝장토론을 해서 결론을 내야 한다"며 "따라서 대표든 최고위원이든 대선후보든 현재 경선 방법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이번 기회에 철저한 노선투쟁과 토론으로 고쳐야 한다"고 방법을 설명했다.
이 밖에도 전당대회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선 패배의 영향권에 있을 4·24 재보궐 선거의 책임과 문재인 전 후보의 역할 설정 등에서도 어떤 어려움이 발생할지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문 비대위원장은 "가능한 한 빨리 전당대회 준비를 차질 없이 하고 지난 대선을 아프게 평가하며 환골탈태하겠다"면서 "지지해준 48% 국민과 치유를 바라는 국민의 마음을 모두 묶어 성공적으로 전당대회를 치르고 새 지도부가 뽑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