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기자수첩] 삼성이냐 애플이냐..루저들의 눈치보기

기사등록 : 2013-03-11 14:1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김양섭 기자] "삼성이냐 애플이냐"

IT산업이 스마트폰 비즈니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경쟁에서 도태된 업체들이 생존을 위한 고민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노키아는 애플을 택했고, 샤프는 삼성을 택했다. 삼성과 애플의 싸움이 격해지면서 루저(Loser)' 들은 어딘가에는 줄을 서야 할 판세가 됐다.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겠다는 거창한 포부보다는 생존을 위협받는 처지가 된 이들의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샤프가 삼성에 손을 벌리면서 '샤프-애플-혼하이그룹(폭스콘의 모그룹)' 라인에는 금이 가게 됐다. 삼성과의 자본 제휴는 애플을 버리고 삼성을 택한 결단처럼 여겨지고 있다. 한때 후발주자였던 삼성에게 손을 벌린 것은 샤프에겐 굴욕적인 순간이었을지도 모른다. 샤프의 공식 트위터 조차  "의지할 곳 중 하나를 잃어버렸다고 느끼는 분이 많다는 걸 잘 알고 있다. 저는 싫어하더라도 샤프 제품은 싫어하지 말아달라"고 언급했을 정도다.

세계 휴대폰 시장을 호령했던 노키아에게 삼성은 눈엣가시다. '혁신'이라는 수식어로 스마트폰 시장을 창출했던 애플은 차치하더라도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을 썼던 삼성은 다르다. 삼성이 패스트팔로워 전략을 통해 애플을 넘어서는 자리에 왔다면 노키아 역시 순간적인 충격을 뒤로하고 애플을 따라잡을 기회는 충분히 있었다. 자체 OS(운영체제) 심비안을 고집했고, 연대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던 전략의 실패가 노키아를 루저로 몰아넣었다. 그나마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저가 스마트폰을 팔며 회생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삼성이 또다시 훼방을 놓고 있는 모양새다. 애플과 마찬가지로 프리미엄 제품 전략 위주였던 삼성이 최근 저가폰 라인업을 대폭 확대하면서 노키아의 시장을 파고들 태세다. 삼성의 저가폰 주요 공략지역 역시 노키아의 주력시장과 거의 일치한다. 노키아로서는 더이상 삼성을 적으로 간주하지 않을 이유가 없게 됐다. 노키아는 굳이 하지 않아도 될 행동까지 취하면서 애플편을 들고 있다. 노키아는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항소법원에 항소인 애플을 지원하는 의견서(AMICUS BRIEF)를 제출했다.  의견서에서 노키아는 "특허 보유자가 이를 침해한 경쟁자를 향해 영구적으로 판매금지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혁신을 키우는 것"이라며 "공익을 위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특허권을 보호해주는 것이 특허법"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다소 유치한 듯 보이지만 노키아로서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일지 모른다. 또 노키아가 애플과 마찬가지로 삼성 부품을 쓰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도 업계에 회자되고 있다.

삼성과 애플의 싸움을 지켜보는 구글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다. 구글의 OS인 안드로이드가 애플의 iOS를 넘어서는데는 삼성의 역할이 컸다. 구글이 삼성과 끈끈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이런 우군 체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구글이 모토로라를 인수해 하드웨어 기반을 갖춘것이나 삼성이 세계 주요 모바일기업들과 연합해 OS(타이젠)를 개발하고 있는 것은 협력체제의 결별에 대비한 것으로 해석된다. 구글이 아직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진 않고 있지만 구글의 하드웨어 진출은 단지 '타이밍(timing)' 문제로 업계는 보고 있다.

'애플-삼성-구글'의 역학관계와 상관없이 고성장을 즐기고 있는 것은 중국업체들이다. 중국은 인구 기준으로 세계 시장의 20%가 넘는 시장이다. 중국을 빼고 세계시장을 논하기 어려울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이 있는 지역이다. 중저가 제품군에서 외국업체들은 원가경쟁력을 갖춘 중국업체들에게 게임이 되지 않는다. 세계 유수업체들의 중국 시장 전략이 모두 '프리미엄'인 것은 이같은 이유때문이다. 애플과 삼성도 마찬가지다. 이런 중국이 선두업체와 빠르게 기술 격차를 좁히면서 삼성전자의 최대 리스크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삼성이 강조해온 '초격차(超格差)' 전략 역시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진다.

또 다른 변수는 구글과 같은 소프트웨어업체들이다. MS(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의 소프트업체들이 하드웨어 우군을 어떻게 구축하느냐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소비자들은 하드웨어는 쉽게 바꿔도 익숙해진 소프트웨에는 높은 충성도를 보인다. 삼성이 소프트웨어 인력을 확충하고 전력을 쏟고 있지만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자체 OS인 바다를 시장에 내놓은 뒤 한차례 쓴 맛을 봤던 삼성이 타이젠을 통해 어떤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지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양섭 기자 (ssup825@naver.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