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주명호 기자] 엔화 가치의 가파른 하락세로 일본 수출경제는 빛을 보고 있지만 원료수입 비용 증가가 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7일 자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일본 경제산업성이 주관한 전문가회의에서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2년 전 후쿠시마 원자료 사고로 인한 연료수입 비용 증가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전사고로 중단된 발전량을 메우기 위해서는 이달부터 시작되는 2013회계연도에만 수입 비용으로 3조 8000억 엔(43조 5000억 원)을 지출해야 한다. 이는 후쿠시마 사고 이전 연도 전체 수입량보다 많은 액수며 작년 지출 비용보다도 7000억 엔이 증가한 양이다.
전문가들은 2012회계연도 때의 비용 상승도 엔화약세에 기인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올해 평균 달러/엔 환율이 100엔에 이를 것이라는 가정하에 연료조달 비용을 낮추는 문제가 시급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대부분의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을 중단시켰으며 이를 충당하기 위해 화석연료 수입을 늘리고 있다. 여기에 작년 말 이후 엔화가 달러화대비 15% 급감하면서 비용 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 이듬해 일본이 몇 십 년만에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도 비용 문제의 심각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일본경제연구소의 이와타 가즈오 소장은 "엔약세가 심화될 시 일본의 교역조건이 악화돼 되레 수익이 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고 언급했다.
여기에 비용상승 인플레이션의 압박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높아진 연료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기업들이 상품가격을 높일 뿐더러 동시에 근로자들의 임금인상은 자제하게 된다는 것이다.
대부분 경제학자들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일본의 경우 엔화약세로 인한 이익이 비용문제를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을 살펴보면 그렇게 단정짓기 어렵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일본은 태양력, 풍력 등 재생 에너지자원 개발을 통해 수입연료 비용 절감을 시도 중이다. 동시에 아베 총리는 원자로의 재가동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 승인을 확보하고 사고 지역민들에게 안전을 확신시키지 않으면 재가동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