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선엽 기자] 버냉키 쇼크 이후 서울 채권시장의 변동성이 날로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가 내놓을 시장안정화대책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오는 2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하는 '7월 국고채 발행계획'에 일부 시장안정화 대책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기재부 국채과 관계자는 "내달 국고채발행계획 안에 장기물 발행물량을 줄이는 것 외에 플러스 알파가 있을 것"이라며 "아직 검토 중이라 구체적인 사항을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차관은 지난 23일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 직후 가진 간담회에서 "다음 달 장기채 발행을 축소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절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추가적인 안정화 대책이 발행계획 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또한 금융위원회를 중심으로 준비 중인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역시 시장에서는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채안펀드는 지난 2008년 말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등이 출자해 5조원 규모로 출범했다. 리먼브러더스 파산 직후 회사채 발행과 유통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채권보유자의 평가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만기도래하는 회사채의 상환이 무난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도였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기관마다 의견이 엇갈리고 있긴 하지만 채안펀드 시행을 하긴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채안펀드가 회사채에 대한 지원제도임에도, 채권시장이 기대하고 있는 부분은 한국은행의 지원 가능성이다.
2008년 당시 한은은 ‘채권시장안정펀드 지원 방안’을 통해 금융기관에 대해 국고채 단순매입 및 통안증권 중도환매 등으로 최대 5조원(금융기관 출자금액의 50% 이내)까지 유동성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한은은 이후 주로 RP(환매조건부) 방식으로 은행의 국고채와 통안채를 단순매입했다. 90일 단위로 RP 계약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유동성을 은행 등에 공급한 것이다.
한은은 당시 정책이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우리채권시장의 안정에 기여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도 유사한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은 시장운영팀 관계자는 "당시에 은행채나 회사채를 한은이 직접 매입하지는 않았다"며 "하지만 한은이 매입해 줄 수 있다는 기대가 반영되면서 시장이 안정화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화스왑이 환율안정에 기여했다면 채안펀드는 원화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에 분명히 기여를 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