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부채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유로존이 미국과 중국 악재에 이중고를 겪고 있다.
미국이 유동성 조이기와 중국의 성장 둔화가 유로존 주변국은 물론이고 중심국인 독일까지 강타할 것이라는 우려다.
마리오 드라기 총재를 주축으로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자들은 연이어 초저금리를 포함한 부양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을 확인하고 있다. 투자심리 냉각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장의 냉정한 판단은 이와 다르다. 지난 5월22일 이후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자산 매입 축소 발언에 대한 시장 반응에서 확인했듯 미국 뿐 아니라 글로벌 국채 수익률이 상승할 수 있고, 그밖에 각종 금융거래와 아비트라지가 유로존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릴 것이라는 경고다.
무엇보다 미국과 유로존 중심국 국채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감안할 때 연준의 양적완화(QE) 축소가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다.
UBS의 악셀 베버 회장은 “연준의 움직임은 지극히 바람직한 것”이라며 “하지만 유로존은 이로 인해 역풍을 맞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QE 축소는 국채 수익률 상승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금융 거래와 아비트라지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유로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유로존 입장에서 볼 때 연준의 정책 기조 변경은 상당히 부적절한 시점에 불거진 셈“이라고 강조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통화정책 향방 이외에 중국 역시 유로존의 커다란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독일의 전체 수출 가운데 중국 비중은 6%로 집계됐다. 중국은 독일의 5위 수출국으로 기록됐다. 수출액은 670억유로로 미국 수출액인 870억유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국이 성장 둔화 및 내수 경기 부진은 독일 경제에 커다란 부담이 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유로존 전반의 경기 회복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ING의 카스텐 제스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성장 둔화는 독일 경제에 커다란 위협”이라며 “특히 장기간 성장을 이끌었던 중국의 투자가 둔화될 경우 자동차 수출 감소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물 경기에 적잖은 충격을 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