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차이나위클리] 위안화 미 달러외 다른 통화와의 직접환거래 급증

기사등록 : 2013-07-23 09: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중국 위안화, 미국 달러외에 다른 외국 통화와의 직접 거래 급증


□ 중국외환시장*에서 현물환거래는 달러화-위안화 거래가 여전히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직접교환거래 도입** 이후 일본엔화와 호주달러화의 거래량이 100배 수준으로 증가하면서 통화별 거래비중에 큰 변화

    * 상해 은행간외환시장(CFETS)의 위안화와 외국통화간 현물환거래는 모두 9개 통화(USD, HKD, JPY, EUR, GBP, AUD, CAD, MYR, RUB)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음(이와 별도로 위안화-태국바트화(THB)는 운남성 지역에서 2011.12.29일부터 개시)

   ** 엔화와 위안화간 직접교환거래는 2012.6.1일부터, 호주달러화의 직접교환거래는 시범실시기간을 거쳐 2013.4.10일부터 개시
 
  ㅇ 2012.5월 전체 외환거래액 3,117.5억달러중 달러화 거래가 98.9%의 비중을 차지한 반면 엔화 및 호주달러화의 거래비중은 각각 0.1%와 0.00002%에 불과하였으나

  ㅇ 2013.6월에는 전체 거래액이 3,209.6억달러로 소폭 증가한 가운데 통화별 비중은 달러화가 92.1%까지 감소하고 엔화(5.2%), 유로화(1.5%), 홍콩달러화(0.7%), 호주달러화(0.6%) 순으로 나타남


□ 엔화-위안화 직접교환거래는 2012.6.1일부터 상해외환시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일본 동경외환시장*에서도 엔화-위안화 거래가 본격 개시 

       * 3대 메가뱅크와 외환중개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상시호가를 제공하고 거래를 개시

  ㅇ 엔화-위안화의 직접교환거래가 실시되자 상해외환시장에서 엔화거래액이 2012.5월 3.9억달러에서 6월 113억달러로 급증하여 유로화와 홍콩달러화를 규모면에서 크게 넘어서면서 두 번째 거래통화로 부상
 
  ㅇ 동경외환시장의 엔화-위안화거래*는 본격 개시된 시점에서는 일평균 100억엔 수준이었다가 금년 들어 Abenomics에 따른 엔화 약세로 인해 위안화의 조기확보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150억엔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상해외환시장의 1/7수준**에 그치고 있음

       * 2011.4월의 경우 동경외환시장에서 위안화-미달러화 거래는 일평균 0.3억달러 수준이었으며 위안화-엔화 거래는 거의 없었음
 
     ** 동경외환시장의 위안화 거래규모가 작은 이유는 일본계은행과 일본진출 중국계은행의 시장을 통하지 않는 자기계정거래 존재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
 

□ 상해외환시장의 호주달러화-위안화거래는 월평균 0.2억달러 수준에 불과하였으나 금년 4월 직접교환거래 개시 이후 세 번째 거래통화인 유로화-위안화 거래에 필적하는 수준까지 거래가 급증  
                                         

□ 엔화-위안화 거래 급증에도 불구하고 거래액중 일중간 무역결제를 위한 수요*의 비중은 10% 수준에 그치고 있어(상해진출 일본계은행 평가) 향후 더욱 확대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

       * 상해외환시장의 엔화-위안화 거래수요는 무역거래 외에도 기타 경상거래, 자본거래, 금융기관의 자기매매거래, 동경외환시장의 위안화포지션 커버용 거래 등이 존재

  ㅇ 직접교환거래 개시 이후 엔화-위안화 거래가 급증한 것은 상해진출 일본계은행의 적극적인 역할* 및 중국당국의 독려에도 상당히 기인
 
      * 엔화 시장조성자은행중 3개 일본계은행이 일평균 40∼70억위안(500∼800억엔)을 취급하여 상해외환시장 엔화거래의 절반 이상을 점유

  ㅇ 일중간 무역결제는 통상 미달러화가 60∼70%, 엔화가 30∼40%를 차지하며 위안화 결제*는 거의 없었으나 직접교환거래 이후 비중이 꾸준히 높아져 금년 들어 3% 이상으로 상승

      * 직접교환거래 실시전인 2012.5월중 일본과 중국(홍콩 포함)간 거래의 결제통화는 달러화(52.4%), 엔화(43.9%), 홍콩달러화(1.6%)의 순으로 위안화비중은 1.3%에 불과(SWIFT통계)

 

□ 호주의 경우 2011년까지 극히 미미하였던 양국간 결제에서의 위안화 비중이 점차 상승*하여 금년 들어서는 6%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 데다 Westpac은행과 ANZ은행이 시장조성자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

    * 2011.2월 0.1%에서 2012.2월 1.9%로 상승(SWIFT통계)
 

□ 당초 직접교환거래가 개시되면 엔화→달러화→위안화의 2단계 환전이 엔화→위안화로 단순화됨으로써 환전코스트 저하를 기대하였으나 여전히 달러화를 매개로 한 환율의 스프레드가 작아 비용 측면의 편익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ㅇ 중국의 경우 엔화의 대고객 전신환 환전레이트가 직접교환거래 실시전 ±0.4% 수준에서 ±0.35%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은행간 거래스프레드도 소폭 축소
 
  ㅇ 일본의 경우 대고객 현찰 환전레이트는 직접교환거래 실시전 ±3.1%에서 실시후 ±2.4%로 축소되었으나 은행간 거래의 스프레드에는 큰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짐(일본국제통화연구소, 2012.12월)

   
□ 말레이시아 링깃화와 러시아 루블화의 경우에도 거래 호가 제시시 달러화를 매개로 하지 않는 직접교환거래방식을 채택하고는 있으나 월평균 거래량이 1억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거래가 극히 부진한 상황이 지속

  ㅇ 이는 엔화와 호주달러화의 경우 주요 국제통화중 하나로서 상해외환시장 외의 국제거래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해당국통화 보유량이 큰 핵심 시장조성자은행들이 적극적인 시장참여에 나서고 있는데 반해 링깃화와 루블화의 경우 시장조성자의 역할이 미미한 데 주로 기인*

      * 링깃화 시장조성자는 건설, 교통은행, HSBC 및 말레이은행(Maybank), 루블화 시장조성자는 공상, 중국, 하얼빈은행 및 러시아무역은행(VTB)의 4개에 불과


  ㅇ 루블화의 현찰레이트가 엔화, 유로화 등 여타국통화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고 링깃화의 경우 현찰레이트가 고시되지 않는 등 현지에서 해당통화의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도 거래부진의 원인으로 작용
   
□ 우리나라 원화의 경우 전신환레이트가 고시되지 않을 뿐 아니라 현찰레이트가 루블화보다도 높은 ±4.2%에 달하는 점이 중국현지에서 은행을 통한 원화의 환전 및 사용을 크게 제약하는 요인으로 분석됨

[차이나위클리= 한국은행 베이징 사무소]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