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정크본드 강세, 연준 테이퍼링 감내 자신감

기사등록 : 2013-08-21 03: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의 자산 매입 축소 우려에도 정크본드가 강세를 보이는 것인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후퇴를 감당할 수 있다는 시장의 자신감을 보여주는 단면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6월 이후 최고 신용등급인 AAA 등급 회사채의 프리미엄이 이보다 아래인 AA 등급을 상회한 현상이나 투기등급 회사채로 자금이 밀려드는 것은 연준의 양적완화(QE) 축소에도 실물경기가 크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관측이 깔린 것이라는 주장이다.

무엇보다 정크본드의 평균 수익률이 지난 6월19일 연준의 QE 축소 가능성 발표 당시보다 낮아진 데서 이 같은 판단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통상 디폴트 리스크가 높은 회사채일수록 안전자산인 국채에 비해 더 높은 쿠폰금리를 지급한다.

이는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의 가격이 금리 등락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움직임을 보이는 결과를 낳는다.

일부에서는 투기등급의 회사체에 시중 자금이 몰리는 것이나 AAA 등급 회사채 프리미엄이 AA 등급을 넘어선 배경을 이 같은 논리에서 찾는다.

국채보다 듀레이션이 짧아 금리 움직임에 따른 급등락 리스크가 낮은 채권에 투자해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계산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듀레이션 논리만으로는 정크본드 강세를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의 칼럼니스트인 매튜 클레인은 정크본드의 상승을 일반적인 경기와 채권시장 향방의 상관관계에서 풀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 펀더멘털이 악화될 경우 디폴트 리스크가 높은 투기등급 회사채일수록 손실을 낼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은 투기등급 채권의 비중을 줄이는 한편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인다.

경기 회복이 미흡한 상황에 연준이 유동성 공급을 줄일 경우 실물경기가 냉각될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라면 근본적으로 디폴트 리스크가 높은 정크본드가 상승 흐름을 탈 수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정크본드의 수익률은 연준의 QE 축소 발표 이후 오히려 하락했다”며 “테이퍼링으로 인해 경기가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상당수의 투자자와 트레이더가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