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일본 '긴장감' 은행권 美 국채 보유 현황 조사

기사등록 : 2013-10-12 03: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의 2위 채권국인 일본 정부가 민간 금융권의 미국 국채 보유 현황을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외화 조달 능력도 점검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의회의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속도를 내지 못하자 상황 점검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출처:신화/뉴시스)

이와 함께 필리핀과 영국 등 일부 정부가 미국이 디폴트를 맞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 비상 대책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은 자산 규모 상위권 3개 은행에 미국 국채 보유 내역을 상세하게 보고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별도로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 역시 미국의 디폴트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충격에 감내할 수 있을 것인지를 점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미국의 연방정부 폐쇄와 디폴트 리스크에 대한 주요국 정부의 경계감을 드러낸 단면으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공식적으로는 디폴트가 현실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지만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영국과 필리핀 등 주요국 정부 역시 미국이 디폴트 상황을 맞을 경우에 대비해 비상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고 WSJ은 전했다.

당장 시장의 관심을 모으는 곳은 일본이다. 1조3000억달러에 달하는 일본의 외환보유액 가운데 상당 부분이 미국 국채를 포함한 달러화 자산인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정부가 당장 미국 국채 매도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채를 공격적으로 매도할 경우 엔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떨어뜨려 일본 수출 경쟁력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미국 의회의 대치 상황이 가닥을 잡지 못하면서 국채가 하락 압박을 받을 경우 일본 정부가 이를 감내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번지고 있다.

UBS 웰스 매니지먼트의 카이란 가네쉬 전략가는 “모든 투자자들이 미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낙관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미국 정부가 11월 초까지 운용할 현금 자산을 보유한 만큼 협상이 17~23일까지 타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