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타결 임박’ 테이퍼링 재등장? Fed-ECB 같은 고민

기사등록 : 2013-10-17 01: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상원 지도부가 16일(현지시간) 연방정부 폐쇄를 종료하고 부채한도를 임시 증액하는 방안을 승인, 디폴트 위기를 모면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자 투자자들의 관심권에서 벗어났던 연방준비제도(Fed)의 이른바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출처:뉴시스)

연방정부 폐쇄가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실물경기에 이미 타격을 가한 만큼 당장 연준이 양적완화(QE)를 축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연준의 발목을 잡는 문제는 경제 펀더멘털보다 값싼 유동성에 중독된 금융시장이며, 이는 유럽중앙은행(ECB)도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5월 하순 벤 버냉키 의장이 테이퍼링 가능성을 첫 언급한 이후 이머징마켓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이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이 때문에 이머징마켓 정부는 물론이고 국제통화기금(IMF)을 포함한 국제기구까지 나서 신중한 결정을 촉구했다.

시장에 발목이 잡힌 것은 ECB도 예외가 아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3조5000억달러까지 치솟은 사이 ECB의 자산은 감소 추이를 보였다. 이는 유로존의 제도 상 연준과 같은 비전통적 통화정책이 용인되지 않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과 ECB를 포함한 글로벌 중앙은행이 같은 함정에 빠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전통적인 유동성 공급에서 발을 빼는 일이 간단치 않다는 얘기다.

유로존 주변국 정부와 금융권은 ECB에 장기저리대출(LTRO)와 같은 형태의 자금 지원을 추가로 시행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ECB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문제는 ECB가 유동성 공급을 지속할 경우 금융권의 부실 자산 처리가 느려지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민간 금융권의 정책 자금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ECB의 핵심 기능이 신규 자금 공급에 치우칠 경우 중앙은행으로서 신뢰에 흠집이 생기는 한편 대차대조표가 더욱 확대되는 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투자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미국 연준 역시 디폴트 리스크 모면에도 이른바 테이퍼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상원 지도부의 합의안이 내년 1월15일까지 연방정부 기능을 정상화하는 한편 내년 2월7일까지 부채한도를 늘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 것으로, 워싱턴 리스크가 재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핸더스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케빈 애덤스 디렉터는 “연준의 테이퍼링은 사실상 좌절된 카드”라고 판단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