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박 대통령, 공동번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제안

기사등록 : 2013-10-18 10:1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유라시아 시대의 국제협력' 컨퍼런스 개막식 기조연설

[뉴스핌=이영태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단절과 고립, 긴장과 분쟁을 극복하고 소통과 개방으로 평화롭게 교류하며 함께 번영하는 새로운 유라시아를 건설해야 한다"며 이른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유라시아 시대의 국제협력' 컨퍼런스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저는 이제 유라시아에 새로운 소통의 길을 열어 협력의 잠재력을 끝어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유라시아 대륙은 세계인구의 약 71%가 살고 있고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12개의 시간대에 걸쳐 있는 세계 최대의 단일 대륙"이라며 "만일 교역장벽을 단계적으로 허물면서 유라시아 지역이 자유무역지대화돼 역내 경제통합이 가속화된다면 유라시아는 유럽연합의 단일시장처럼 거대한 단일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러한 신 유라시아 건설은 단순한 이상과 꿈이 아니라 실현 가능한 목표"라면서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평화의 대륙으로 만들어가기 위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우선 "유라시아를 진정한 하나의 대륙으로 다시 연결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유라시아 내 끊어진 물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교류를 가로막는 물리적 장벽을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을 출발해 북한·러시아·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관통하는 철도인 '실크로드 익스프레스(SRX)' 건설과 북극항로 개발, 중국의 셰일가스 및 동시베리아 석유·가스 등을 공동개발하는 에너지 협력과 역내 전력망·가스관 등의 에너지 인프라 연계를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유라시아 교통 및 에너지 인프라 구축은 그간 막혀있던 물꼬를 열어 내륙 유라시아와 한국, 그리고 중국과 일본까지 참여하는 유라시아 경제권 형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물리적 장벽 못지 않게 무역과 투자를 가로막는 제도적 장벽을 극복하는 일도 중요하다"며 "유라시아 지역은 서쪽으로는 EU(유렵연합), 남쪽으로는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태평양 건너에는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등 단일시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현재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FTA 등 무역자유화 논의를 가속화하고 이를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력체제) 등 유라시아 역내외를 아우르는 무역협정과도 연계한다면 거대한 단일 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대통령은 "유라시아를 창조의 대륙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유라시아인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되고 산업과 기술 그리고 문화가 융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그 바탕 위에 새로운 문화가 어우러지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창조경제와 러시아의 혁신경제, 중국의 자주창신(自主創新) 등을 언급한 후 "이런 개별국가 차원의 창조경제 추진 노력을 한 데 모으면 그 시너지는 대단히 클 것이고 유라시아 지역을 전 세계의 성장엔진으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유라시아를 평화의 대륙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은 유라시아의 경제통상과 문화교류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으로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를 열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특히 유리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관문인 한반도의 평화는 유라시아는 물론 전 세계 평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며 "물류, 에너지, 인적교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협력 과제들이 남북관계의 안정과 북한의 개혁·개방 없이는 풀어나가기 어려운 과제"라고 말했다.

이런 차원에서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소개한 박 대통령은 "두 구상 모두 신뢰형성이 협력의 전제라는 인식 아래 '합의의 성실한 이행'과 '국제규범에 입각한 행동'을 중요 원칙으로 삼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유라시아 국가들의 지지를 당부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