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내년 부동산 시장은 대형 호재가 부족해 시세가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바닥을 다지는 한 해가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중 실물경기 회복과 6월 지방선거, 정부의 부동산 추가대책 등은 부동산 시장을 긍정적으로 이끌 요인으로 꼽힌다.
반면 금리인상 가능성과 입주물량 증가는 매수 심리 개선과 시세 상승에 부정적인 변수로 작용될 여지가 높다.
◆성장률 상승 및 지방선거, 긍정적 변수내년 부동산 시장은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호재와 악재에 따라 변동성이 엇갈릴 전망이다. 서울 영등포 일대 모습.
3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내년 실물경기 회복이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의견이 많다. 소득과 일자리가 늘면 주택 구매력이 높아져 거래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자문위원은 “주택 매입은 안정적인 소득과 일자리가 전제돼야 하는 만큼 실물경기가 회복하면 주택 구매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며 “국내외 돌발 변수가 많아 전망치 달성 여부는 지켜봐야 하지만 성장률의 저성장 탈피는 주택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 3.9%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최근 2년 연속 2%대 성장률에서 크게 개선된 것이다. 또한 신규 일자리 45만개를 만들겠다는 게 정부측 계산이다.
내년 6월 지방선거도 긍정적 변수로 지목된다. 보통 선거철에는 부동산 경기를 띄우는 선거공약이 다수 출현한다. 지난 2008년 지방선거 당시에도 노원구, 강북구, 도봉구 등 강북지역 ‘뉴타운 개발’ 공약으로 집값이 서울 평균보다 배 이상 더 뛰었다. 때문에 집값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심리적인 효과가 클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이다.
권일 탁터아파트 팀장은 “지방선거 과정에서 낙후지역 개발이나 기반시설 신설 등이 선거공약으로 활용될 여지가 높다”며 “물론 공약에 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국지적으로 기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가 대책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올해처럼 매매시장 약세가 지속되면 전세로 눌러앉는 수요가 더욱 늘어 전셋값이 폭등하는 부작용을 양산한다. 이는 정부가 부진한 주택 거래를 방관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는 올해에만 4·1대책, 8·28대책 등 4차례에 걸쳐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발표됐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내년에도 주택경기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추가적인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제시될 확률이 있다”며 “추가로 나올만한 대책 중 굵직한 재료가 부족하지만 일정부분 주택경기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외에도 리모델링 수직증축 허용에 따른 활성화 여부도 관심사다.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도 장기적으로 시장에 긍정적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금리인상 불가피..구매력 저하 우려
하지만 부정적인 변수도 있다. 일단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짙다. 이로 인해 대출 금리가 인상되면 주택 매입에 부담을 느끼는 수요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금리가 단기간에 급등하지 않겠지만 통상 주택 매입시 대출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변수다”며 “금리가 점진적으로 계속 오르면 부채 규모가 크거나 하우스푸어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원갑 자문위원은 “국내 대출 금리가 높아지면 자금 부담이 커져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특히 토지,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입주 물량이 크게 늘어 시세 상승에 발목을 잡을 것이란 시각이 있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19만3552가구)보다 43% 늘어난 27만7404가구에 달할 전망이다.
권일 팀장은 “입주 및 분양물량이 많으면 큰 호재가 없는 이상 일반적으로 주택 매매시장이 약세를 기록한다”며 “하지만 상대적으로 전세 시장은 올해보다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