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신년기획-시급한 경제구조 대전환]⑤ 성공 열쇠는 의료·산업계간 협력

기사등록 : 2014-01-10 14: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조현미 기자] 헬스케어 3.0을 두고 세계 각국 정부의 관심도 높다. 의료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 유럽 모두 원격의료 지원법을 만들어 시행 중이다. 우리 정부의 움직임은 더디다. 정부는 원격의료 허용 관련법을 지난해 하반기에야 만들었다. 헬스케어용 웨어러블(착용) 기기에 대한 지원책은 전무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정책적 지원은 늦지만 의료계와 산업계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의료 서비스와 제품을 내놓을 경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 선진국 헬스케어 3.0 산업 지원 강화

▲보쉬헬스케어 원격진료 시스템 <제공=보쉬헬스케어>

헬스케어 3.0 시대의 대표 산업인 원격의료는 이미 여러 국가에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정부의 지원 아래 가능했다.

우리나라의 감사원격인 미국 의회 회계감사원(GAO)은 미국 공공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담당 의사들에게 의료 정보화를 통한 진료 전략을 제시했다. 또 의료정보기술(HIT)를 통한 유비쿼터스헬스(유헬스) 선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일본의 경우 1997년 후생성 고시를 통해 유헬스 허용 근거를 만들고 2000년대 들어 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캐나다는 국가적 차원에서 원격의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초고속 보건정보망 사무국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 정보통신기술(ICT) 발달을 위해 노력 중이다.

유럽연합(EU)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고령자가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하고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ICT와 접목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AAL(Ambient Assisted Living)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 한발 늦은 한국…이종업체간 협력으로 승부해야

▲LG전자의 웨어러블 기기 ‘라이프밴드 터치’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에야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의료법을 입법예고했다. 더구나 시행은 빨라도 내년 7월 이후에나 가능하다. 실제 국민들이 혜택을 보는데는 그만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헬스케어 융복합 기술을 대표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웨어러블 기기도 규제에 발목이 묶여 있다.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관리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는 최근 세계적으로 개발 열기가 뜨겁다. 세계적 기업인 구글과 애플, 소니를 비롯해 삼성, LG도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원격의료가 허용된 미국에서는 웨어러블 기기 활용도가 높다. 단순한 건강 상태 확인은 물론 의료전문가의 조언을 받으며 건강을 돌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법적인 문제로 이용이 어렵다. 의료기기로 등록은 가능하지만 이 기기를 이용한 진료는 허용이 안된다. 

의료 ICT 수준은 세계 최고이나 병원간 격차가 큰 것도 헬스케어 3.0 확산의 발목을 잡는다. 병원에 따라 제공하는 진단, 사후관리 서비스 등이 차이를 보일 수 있어서다.

박종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은 “IT 기업과 대형병원, 특화된 병원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의료IT의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의료계의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 개발이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병원, 기업 등이 각각 헬스케어 3.0 시장에 진출할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협력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성수 연세의료원 정보실장은 “국내에서 보유한 헬스케어 자원과 ICT 산업 기반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고 있고 국내에서만 소비하기에는 과잉 투자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그는 “따라서 경쟁력 있는 자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시너지를 극대화 할 파트너들이 생태계를 만들어 다양한 수익모델을 공유해 연결시키는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된다면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동력 산업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현미 기자 (hmcho@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