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강혁 기자] #. 지난해 여름.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에 불량 부품이 사용돼 일부 가동이 중단됐다. 같은 시기 당진화력발전소 3호기도 고장으로 멈춰섰다. 전략수급에 비상이 걸렸고 블랙아웃 공포가 엄습했다.
#. 지난 1월29일. 경북 울진에 있는 한울 원자력발전 5호기가 고장으로 가동을 멈췄다. 한울 원전 5호기는 지난해 7월에도 현장직원의 기기조작 미숙으로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부랴부랴 고장난 부품을 교체하고 이달 6일 재가동에 들었다. 한겨울에도 블랙아웃 우려는 여전한 셈이다.
국내 전력불안이 반복되면서 국민들의 절전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한여름 피크시간대에는 온 국민이 '찜통'을 감수하면서 처절할 정도로 절전에 동참해야 하고 기업들도 저마다 전력소비를 줄이느라 생산차질을 빚는 일이 빈번하다.
전기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위기를 자초한 측면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국민들에게 무조건 '고통분담'을 요구하는 우스꽝스러운 상황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 즉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추가적인 원전 건설 없이도 전력불안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정부 일각과 관련업계의 설명이다.
하지만 ESS가 제대로 보급되고 활성화되기에는 아직 갈걸이 멀다. '발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이 인정되지 않고 있어서다. 보급화를 위한 조속한 관련법 개정과 관련시장 육성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해 보인다.
◆반복되는 전력불안..해소 대안 'ESS' 주목
14일 관련업계와 정부관계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전력난 해결을 위해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발표하고 2035년 전력수요의 15%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월 중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내놓고 전력공급을 조절하는 ESS설치 인센티브 제공을 비롯한 스마트그리드 등을 통한 수요관리형 전환에 나서기로 했다.
▲국가별 ESS 지원 정책. |
소비자는 전기요금이 쌀 때 전기를 쓸 수 있고 생산자는 전력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핵심은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의 활용이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장치인 ESS는 전력수요가 적은 시점에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하는 시점에 전력을 공급해 수요와 공급간 불일치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또 원전 불안이나 화석연료의 부작용 등을 감안해 최근 주목받는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문제점인 전력의 품질과 공급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역할도 ESS가 담당한다.
우리나라의 시간당 전력생산량은 약 80GW이다. 이 중 5%인 4GW(400만KW)는 비상시에 사용할 목적인 예비전력으로 편성돼 있다.
지난해 여름 전력부족량이 약 2GW 정도인 걸 감안하면 ESS를 활용해 이 예비전력의 반이라도 적절하게 사용했다면 전력대란은 피할 수 있다.
현재 1GW 용량의 ESS를 설치하는 비용은 약 1조2500억원 수준으로 같은 용량의 원전 1기를 추가 건설하는데 약 3조원이 들어가는 것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원전 건설없이도 ESS를 통해 전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셈이다.
한 전력전문가는 "원전 건설 비용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경제성 등 미래 스마트그리드 구현의 핵심 장치인 ESS를 빠른 시일 안에 도입하고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기존 발전소에 연결된 송전망이 이미 포화상태인데 ESS를 설치한다면 밀양 송전탑 사태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문제는 ESS가 제대로 활성화되기까지는 아직 갈걸이 멀다는 점이다. '발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이 인정되지 않고 있어서다.
단적으로 ESS의 주된 목적이 저장된 전기를 방출하는 것인데 전기사업법에는 이에 대한 규정이 없어 현재 전기를 사용하는 수요기기로 취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비상발전기로의 인정도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 일정 규모 이상의 대형 건물에는 비상발전기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만 대부분 디젤발전기나 가스터빈 발전기로만 국한돼 있다.
ESS를 비상발전기의 하나로 인정하게 되면 대체효과로 인해 보급이 확산되고 구축 비용이 절감돼 다시 보급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설명이다.
이밖에도 공공부문이나 한전 등 발전부문의 전기사업자, 송배전부문 등에서 의무화 방안이 추진되는 것도 활성화에 한 몫할 수 있다. 아울러 ESS관련 기술개발 및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요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력전문가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소비자용 ESS 지원프로그램인 SGIP(Self Generation Incentive Program)를 벤치마킹해 최대 부하의 감축을 위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만하다"고 조언했다.
◆세계 각국..ESS 시장 선점 잰걸음
ESS의 높은 가치를 일찌감치 알아 본 전세계 선진국들은 아직까지 블루오션인 ESS 주도권을 잡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나라는 일본이다. 2012년 3월부터 ESS 설치 보조금 사업을 추진 중이며 파나소닉, NEC 등 주요 IT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ESS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전자업체에 빼앗긴 가전, 반도체, 소형전지 등의 시장탈환을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는 일본은 신성장사업의 대상에 ESS도 포함시킨 상태다.
또한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계기로 2차 전지 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등 ESS 보급을 확대해 부족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도 ESS에 각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세계 최초로 ESS 설치 의무화 법안(공급전력의 2.25%, 2020년까지 5% 의무설치)을 제정했다. 2014년부터 발효된다.
유럽도 이미 Sol-ion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2020년까지 유럽내 태양광발전 시설의 12%에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에너지저장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전략(K-ESS 2020)을 수립하고, 6조4000억원 규모의 기술 개발 및 설비투자를 실시해 2020년까지 세계시장 30%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각국 정부와 업체가 ESS 개발을 앞다퉈 추진하는 상황에 우리 정부와 관련업계가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면 경제성을 따지는 시장원리가 작동하기 전에 한국의 ESS사업은 길을 잃을 수도 있다.
정부가 ESS 보급 확대를 위해 관련법 개정을 서두르고 관련 시장의 육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관련업계는 입을 모은다.
한편, 스마트그리드, ESS 등은 이미 국내 대기업들의 전자, 화학, 통신, ICT 계열사들이 저마다 시스템과 제품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일부 제품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까지 올라선 상태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LG화학과 삼성SDI 등이 손꼽힌다. LG화학의 경우 ESS 배터리 경쟁력에서 세계 1위다.
다만, 업체들 대부분이 국내 관련법과 정책 지원 부족 등으로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외시장 공략도 그만큼 속도를 내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