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기락 기자]국내 휴대폰 사용자 10명 중 8명은 SK텔레콤의 시장 점유율 50% 고착화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은 85.6%에 달해 시장 점유율 구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과 함께 높은 가계통신비의 인하를 천명했으나 국민들은 이같은 시장 점유율 고착화로 인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가계통신비를 꼽았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는 우리나라 이동통신 30주년을 기념해 지난 3월 25일 전국 만19세 이상 이동전화가입자 1016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85.6%가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8.1%(무응답 6.3%)에 그쳐 시장점유율 구조개선 공감대가 77.5%p 더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61.7%는 휴대폰 시장점유율 구조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순으로 5:3:2의 비율로 장기간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가입자들은 시장점유율 구조 개선방안으로 ‘시장지배력 남용을 막기 위한 정책도입(39.3%) >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자발적 노력(30.3%) > 경쟁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19.8%)’순으로 꼽았다(무응답 10.6%). 이통사들의 자발적 노력보다 제도적 규제가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이동통신 시장점유율 구조개선 찬성층( 870명)의 62.2%는 ‘시장지배력 남용을 막기 위한 정책도입(41.8%)’, ‘경쟁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20.4%)’,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자발적 노력(28.7%)’ 순으로 꼽아 이통사들의 자발적 노력에 대한 불신마저 드러냈다.
시장점유율 고착화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반에 가까운 48.6%의 응답자들이 ‘가계 통신비용 부담증가’를 꼽았고, 22.7%는 ‘소비자 편익 및 서비스 질 저하’를 지목해 71.3%가 시장점유율 고착화에 따른 ‘통신비용 부담증가’와 ‘편익 및 서비스 질 저하’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핌 Newspim] 김기락 기자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