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선엽 기자] 공무주 우선배당 혜택을 등에 업고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 상품이 연이어 출시되고 있다. 이에 설정액도 3주 만에 8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가 내년 이후까지 '롱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손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17일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까지 국내 출시된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는 총 14개로 설정액도 806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3주 후인 이달 13일 기준으로 41개 3049억원으로 늘어났다.
6월 12일 기준 국내 출시된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 중 설정액 50억원 이상인 상품의 연 수익률 <출처=제로인> |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는 운용 자산의 30%를 신용등급 BBB+이하인 국내 채권(하이일드 채권) 또는 코넥스 주식에 투자하는 대신 이자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 분리과세 혜택을 누리는 펀드다.
또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공모주의 10%를 우선 배분받을 수 있다. 6월 들어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것도 트루윈과 화인베스틸 등이 상장을 앞두고 조만간 공모주 수요예측을 실시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KTB자산운용 관계자는 "1년 미만 BBB+ 등급의 수익률(연 3~4%)에 더해 공모주 우선배정에 따른 성과를 추가로 가져갈 수 있다"며 "전체 예상수익률을 연 7~10%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0년 이후 KTB자산운용의 IPO투자 수익률<제공=KTB자산운용> |
또 공모주 우선배당도 출시된 분리과세펀드 전체에 10%만 할당되기 때문에 펀드 개수가 늘어날수록 혜택도 줄어든다. 게다가 담을 만한 'BBB+' 이하의 채권이 마땅치 않은 것도 문제다. 때문에 세제혜택 확대를 포함한 추가적인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편입 채권 등급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BBB+ 이하 채권의 신용위험이 높고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공모펀드로 대규모 자금을 모으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한화투자증권 변동환 투자컨설팅파트장은 "하이일드펀드의 분리과세 대상금액을 1억~2억원까지 확대하고 혜택금액이 클수록 의무가입기간을 차등화하여 장기간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투자자 입장에서는 공모형과 사모형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는가도 고민이다. 현재 시중에 나온 공모형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는 흥국자산운용의 상품이 유일하지만 KTB자산운용도 조만간 공모형을 출시할 계획으로 전해진다.
공모형의 경우 특정 주식종목을 10% 이상 담을 수 없는 '10%룰'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공모주 배당에도 운용자산의 10% 이상을 신청할 수 없다. 때문에 사모에 비해 수익률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또 한 종목의 채권을 10% 이상 담을 수 없는 등 제약이 많아 펀드운용이 만만치 않다. 하지만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만큼 안정성 측면에서는 좀 더 유리할 수 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공모주의 경우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를 하기 때문에 한 종목이 삐끗한다고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사모의 경우 한 종목의 채권에 30%까지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률은 높아도 리스크가 크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